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인천시, 사물인터넷 기반 다중이용시설 공기질 관리시스템 구축

- 실내공기질 관리 4차 산업 선도

[헤럴드경제(인천)=이홍석 기자]인천광역시가 ‘건강한 시민, 쾌적한 생활환경 전략’의 시정과제로 건강 취약계층 이용시설 및 다중이용시설의 공기질관리시스템 구축 사업을 추진한다고 31일 밝혔다.

시는 이번에 어린이, 임산부, 노인 등 건강 취약계층 이용시설을 대상으로 사업을 진행하며, 고농도 미세먼지가 일상화되는 시기에 실내공기질 관리에 대한 시민 인식 제고와 실내공기 취약시설 이용자 및 노약자의 건강권과 환경권을 확보하기 위해 실시한다.

이에 따라 시는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인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을 활용해 미세먼지, 이산화탄소 등 실내공기 오염물질에 대한 실시간 측정기를 설치하고 측정결과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한다.

실시간 측정치는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구축해 사용자가 핸드폰 등을 통해 확인 할 수 있고 공기질이 좋지 않으면 문자메세지를 통해 환기 시점을 안내 받을 수 있다.

또 환기설비를 모델링한다. 기존에 환기설비가 있는 도서관 등은 그 동안 온도에 의해 관리되어 오던 실내공기를 이산화탄소 측정치를 기준으로 자동 연계해 도서관 이용자가 많아 실내공기가 탁해질 때 자동으로 환기시설이 작동되도록 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소규모 취약 시설에 적용 가능한 저비용 환기시설의 모델링도 추진된다. 노후 건물에 입주돼 있는 소규모 다중이용시설의 경우 이용자는 많고 시설내에 주방, 화장실, 창고, 업무공간, 공부방 등이 위치해 열악한 실내공기질을 나타낼 때가 많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을 개선 할 수 있는 사례를 만들어 확대해 간다는 것이 인천시의 구상이다.

이밖에 구축된 공기질 측정망과 환기시설을 기반으로 관련분야 시책 및 정보를 공유 할 수 있는 인천시 다중이용시설 공기질 관리시스템을 구축한다.

2018년 현재 사업은 취약시설인 지역아동센터(공부방) 등 60개소의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및 컨설팅을 실시하고 있으며 내년 161개소를 대상으로 환기시설을 포함한 사업모델링하고 오는 2020년 846개소, 2021년 1396개소에 대해 확대 설치 및 인천시 시스템 개발구축한 후 2022년 시스템 검증 및 관리운영방안 등을 통해 공기질 관리시스템을 도입하게 된다.

이런 과정을 거쳐 구축되는 공기질 시스템은 장기적으로 건강민감계층 뿐만이 아닌 인천시내 모든 다중이용시설에 보편타당하게 적용돼 시민의 건강권과 환경권이 개선되는 첫걸음이 될 것으로 시는 기대하고 있다.

gilber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