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비리 유치원 실명공개 일파만파] “설마 했는데, 우리 아이 유치원마저…” 학부모 분노 확산
교육부가 비리 사립유치원에 대한 감사결과가 공개하면서 각종 비리 백태를 두 눈으로 확인한 학부모들은 충격에 휩싸였다. [연합뉴스]

-비리행태에 충격…맘카페마다 실명 확인 분주
-국공립 유치원 비리도 만만치 않아 불신 높아져
-“감사 대상 늘리고 감사 매뉴얼 만들어야”

[헤럴드경제=정세희 기자]전국의 시도교육청이 비리 사립유치원에 대한 감사결과가 공개하면서 각종 비리 백태를 두 눈으로 확인한 학부모들은 충격에 휩싸였다. 학부모들은 “아이들 교육비로 어떻게 그럴 수 있느냐”면서 분통을 떠뜨렸다.

지난 24일 서울ㆍ부산ㆍ경남ㆍ제주ㆍ인천 등 17개 교육청은 감사 결과 지적을 받은 사립유치원 이름을 실명으로 밝히고 처분내용 등을 담은 자료를 홈페이지에 올렸다. 공개 대상은 서울 76곳(공립 31곳), 경기 122곳(공립 43곳), 인천 223곳, 대전 176곳(공립 8곳), 경남 21곳 등이다.

감사 결과는 유치원 비리의 종합 세트격이었다.

원장이나 설립자의 개인 휴대전화 요금, 개인 차량 주유비, 사택 도시가스비를 유치원 회계에서 빼 쓰는 일은 흔한 수법이었고 셀 수도 없이 많았다. 직위 해제한 교사 수당을 빼먹거나 심지어 유치원 설립자를 ‘소방시설 관리자’로 채용해 돈을 챙기고 단란주점 비용까지 유치원 회계에서 빼 쓰는 등 유치원 공금을 개인 쌈짓돈처럼 유용했다.

이날 지역 온라인 맘카페에선 비리 유치원 명단을 공유하면서 아이가 다니는 유치원이 있는지 확인하느라 분주했다. 목록에서 아이가 다니는 유치원을 확인한 학부모들의 충격은 더욱 컸다. 한 네티즌은 “설마 했던 일이 벌어졌다”며 “원장 선생님이 원비로 남편 보험료를 쓰고 수리비까지 수백만원을 썼다. 원장 선생님 좋은 분인 줄 알았는데 믿겨지지가 않는다”고 말했다.

학부모들은 국공립 유치원도 비리가 만만치 않다며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현재 서울 시내 공립유치원은 226곳이고사립유치원은 650곳이다. 서울교육청은 이 중 공립유치원 116곳과 사립유치원 64곳을 대상으로 감사를 실시했다. 이중 공립유치원이 26.7%(116곳 중 31곳), 사립유치원이 70%(64곳 중 45곳)가 적발됐다. 사립 유치원에 비해 적지만 공립유치원 비리도 무시할 수 없다는 게 학부모들의 주된 의견이었다. 서울 마포구에서 6살 아들을 키우고 있는 최모(41) 씨는 “국공립 유치원도 10곳 중 3곳이 비리가 있다는 게 아닌가. 국공립 유치원을 관리감독하지 않은 교육부가 더 괘씸하다”고 말했다.

감사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감사 대상을 늘리고 지역간 감사 수준이나 제재 등에 편차가 없도록 매뉴얼을 만들어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장하나 정치하는엄마들 공동대표는 “여전히 아직도 감사를 한번도 받지 않은 유치원이 수두룩하다. 감사 대상을 더욱 늘려야 한다”면서 “시도 교육청마다 감사 달성정도나 처벌 수위 등이 제각각이다. 교육부가 감사 매뉴얼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sa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