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벼랑 끝 사람들-①비극의 시작] 도시보다 농촌이 더 위험하다?…각종 대책도 무용지물
지난해 지역별 자살률 [사진=중앙자살예방센터]
-영동군은 44명, 서울은 18.1명…‘자살률 위기’ 빠진 농촌
-농촌 지역 각종 대책에도 ‘자살률 제자리’…특별팀 만들기도
-“복지 담당이 자살업무 모두 떠맡아”…전문 인력 확충 시급


[헤럴드경제=유오상 기자] 노년층의 자살률이 다른 연령층의 두 배를 웃도는 등 노년 자살률이 매년 고공행진을 하고 있지만, 정작 지방에는 전문 인력조차 없는 등 대책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위험’ 수준을 넘어선 농촌의 높은 자살률에 지자체들도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지만, 현실은 열악하기만 하다.

8일 중앙자살예방센터의 ‘전국 시ㆍ도별 연령표준화 자살률’에 따르면 지난해 충청남도의 자살률은 인구 10만명 당 26.2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뒤를 이어 충청북도가 23.2명, 강원도가 23명을 기록했다. 반면, 인구가 많은 서울은 18.1명으로 자살률이 전국에서 가장 낮았다. 이 밖에도 경기도(20.1명)와 대구(20.1명), 광주(20.6명) 등 도시 지역은 비교적 낮은 자살률을 보였다.

지역별 자살률을 더 자세히 살펴보면 농촌과 도시의 격차는 더욱 심각하다. 지난해 충북 영동군은 자살률이 44.0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자살률이 높은 지자체로 기록됐다. 서울과 비교하면 2배 이상 높은 수치다. 지난해 자살률이 40명을 넘는 지역은 전국에서 모두 네 곳으로, 충북 증평(43.5명)과 경기 연천(41.7명), 전남 함평(40.2명) 모두 농촌 지역이다.

높은 자살률 탓에 지자체들은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지만, 해결은 요원한 상황이다. 지난해 시ㆍ도별 자살률 1위를 기록한 충청남도는 지난 2016년에도 전국에서 자살률 2위를 기록하는 등 최근 10년 동안 전국에서 자살률 순위권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지자체가 노력을 게을리 한 것은 아니다. 지난 2011년, 높은 자살률이 문제가 되자 충남도는 ‘제1차 충남도 자살예방종합대책’을 만들고 본격적인 자살예방 사업에 뛰어들었다. 이듬해에는 ‘생명존중 및 자살예방에 관한 조례’까지 만들었다. 광역지방자치단체 중에서는 처음으로 농촌 지역 자살자들에 대한 심리학적 부검을 실시하기도 했다.

그러나 각종 대책에도 자살률은 고공행진을 거듭하고 있는 상황이다. 도 관계자는 “자살률이 점차 낮아지고 있지만, 아직도 높은 수준”이라며 “높은 자살률 탓에 도 차원의 특별 대응팀 구성까지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다.

농촌 지역의 자살률은 노인 자살률과 관계가 깊다. 특히 농촌 노인의 자살률은 도시 노인의 1.5배에 달할 정도로 심각하다. 지난 2016년 자살률이 47.1명까지 치솟았던 전북 장수군의 경우, 자살자의 절반 이상이 60대 이상 노년층이었다. 복지 담당 관계자는 “그해 자살자 11명 중 무직 상태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은 경우가 7명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며 “당시 전문 의료기관이 전혀 없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돼 우울증 선별검사와 자살 고위험군 발굴 사업 등의 대책을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지자체마다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아직 농촌 지역에서 전문 의료기관이나 정신건강복지센터를 찾아보기는 어렵다. 전문기관이 없다 보니 현장에서 자살 우려자들을 관리해야 하는 전문 인력도 없다. 대부분 지자체에 소속된 복지담당 공무원이 자살 예방 업무까지 함께하는 상황이다..

전문가들 역시 농촌 지역의 자살률을 낮추기 위해서는 전문 인력을 더 투입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신은정 중앙자살예방센터 부센터장은 “아직 농촌 지역에서는 전문 인력 없이 복지 담당인력 한 명이 전체 지역의 자살예방 업무를 모두 떠맡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며 “자살률 감소를 위해서는 농촌 지역에 더 많은 전문 인력이 배치돼야 하는데, 지원은 열악한 게 현실”이라고 했다.

osyo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