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박원순 “메르스 환자 접촉자 빠짐없이 관리해야…악몽 반복 안 된다”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환자가 3년 만에 발생한 가운데 박원순 서울시장이 9일 오후 서울시 간부들과 긴급 대응회의를 하고 있다. [사진제공=서울시]
-2015년 메르스 방역본부장 자청한 박 시장
-메르스 대응 긴급회의 등 즉각 대처 나서
-“A 씨, 진실 충분히 이야기 안 했을 가능성”


[헤럴드경제=이원율 기자] 서울시가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으로 비상이 걸렸다. 2015년 메르스 사태 당시 서울시 메르스 방역대책본부장을 자청한 박원순 서울시장은 국내에서 3년 만에 발생한 이 감염병에 대해 환자가 접촉한 한 사람 한 사람을 꼼꼼히 점검해야한다고 강조했다.

10일 서울시에 따르면, 박 시장은 전날 늦은 오후 시 간부를 소집해 메르스 대응 긴급회의를 개최했다.

박시장은 이 회의에서 “메르스 확진환자 A(61) 씨의 동선이 비교적 뚜렷한 것은 지난 2015년과 달리 유리한 조건”이라며 “그런데 격리 조치된 밀접 접촉자 22명 외에 비행기에 함께 탄 439명은 수동감시를 하고 있다”고 답답함을 표했다.

그는 “포위망에서 빠져나가는 사람이 단 한 명이라도 있다면 또 다른 사회 문제가 된다”며 “악몽을 되풀이하지 않으려면 (메르스 확진환자 탑승기 승객) 전체를 격리조치하면 좋을 것”이라고 했다. 이어 비행기 안 화장실이 감염경로가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기하며 “A 씨가 (비행기 안) 화장실을 2번 갔다고 하는데, 이 분이 탄 아랍에미리트 비행기가 모두 10시간이다”며 “어떻게 2번만 갔겠느냐. A 씨가 진실을 충분히 이야기하고 있지 않을 가능성도 대비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A 씨가)쿠웨이트에서 서울대병원으로 이르기 전 시간대의 동선에 대해 우리가 가진 합리적 의문을 충분히 풀어주는 조사가 있어야 한다”며 역학조사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러면서 “3년 전 자가격리 대상자인데도 몰래 빠져나와 장을 보고, 회사에 간 사람도 있다”며 “이런 일이 재발되지 않도록 아랍에미리트 항공기에 탄 외국인 115명도 모두 확인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날 회의에선 서울시 차원의 메르스 대응 방침도 나왔다.

나백주 서울시 시민건강국장은 “현재 메르스 확진환자 이외에 전파가 확인될시 질병관리본부의 위험단계 격상 전이라도 즉각 대응 상향을 검토할 것”이라며 “격리 해제 시까지 접촉자 집중관리를 실시하겠다”고 했다. 나 국장은 “일상접촉자에게는 담당공무원을 배치해 적극적으로 체온 측정이나 질병정보 제공 등 선제 조치를 하겠다”며 “자치구에서 확보한 감염병 조사관을 활용해 여러가지 위험성을 자체 역학조사하는 방안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박 시장은 2015년 메르스 사태 때도 오후 10시 40분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서울시가 직접 대응하겠다”고 앞장선 바 있다. 당시 확진판정을 받은 삼성서울병원 의사가 1500명이 모이는 강남구 개포동 재건축조합 총회에 참석하는 등 불특정 다수와 접촉하다 격리된 일에 대해 정부의 정보 공유를 받지 못한 데 따른 불만 표출이다. 이에 따른 후폭풍으로 정부가 비공개 원칙을 깨고 메르스 확진 환자 발생ㆍ경유 병원 정보를 전격 공개했다.

박 시장은 국민 불안감을 부추겼다는 비판을 받았으나 “늑장대응보다 과잉대응이 낫다”는 논리로 지지를 끌어냈다. 이는 이번 메르스 확진환자 발생시 이낙연 국무총리가 꺼낸 말이기도 하다.

박 시장은 전날 오전에도 메르스 확진 환자가 치료받는 서울대병원을 찾아 “환자가 입국 때 탄 해당 항공기 승객 전원을 관리해야 한다”고 했다.

박 시장은 SNS에도 글을 올려 검역대, 입국심사과정 등 확진환자가 마주한 사람 중 놓치는 부분이 없는지 점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정부도 메르스 확진자가 발생한 뒤 지난 8일 오후 10시부터 ‘메르스대책지원본부’를 가동하는 등 확산 방지에 온 힘을 쏟고 있다.

이번 메르스 확진환자 A 씨는 서초구에 사는 것으로 확인됐다. A 씨와 2m 이내 같은 공간에 있거나 그의 가래, 분비물에 접촉한 밀접접촉자는 전날 오후 기준 22명이다.

서울시는 이날 오후 2시 시 의사회와 의심환자 내원시 대응방안을 합동 발표한다. 같은 날 오전 10시에는 자치구 부구청장 회의와 보건소장 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yu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