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서울시, 화재취약계층에 소화기ㆍ화재감지기 무상 보급
-차상위계층 등 3651가구에 소방시설 무상 보급
-지난해 화재 사망자 59%는 주거시설서 발생


[헤럴드경제=장연주 기자]서울시 소방재난본부는 자력으로 소방시설을 설치하기 어려운 기초생활보장 수급자나 차상위계층, 노인 등 화재 취약계층 3651가구에 주택용 소방시설을 무상으로 보급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에 지원한 소방시설은 소화기 3651개와 단독경보형 감지기 3430개이다.

소방재난본부는 오는 2022년까지 아직 소방시설이 설치되지 않은 13만2000여 가구를 대상으로 보급률 100%를 달성할 방침이다. 내년부터 4년 간 34억원을 투입해 내년 4000가구, 2020년부터 매년 4만3000가구에 설치할 예정이다.

단독주택 등 주거시설의 화재사고 사망자는 꾸준히 발생하고 있고, 법률에 따라 단독ㆍ다가구ㆍ연립 등엔 주택용 소방시설을 의무로 설치해야 하지만 서울시내 의무 대상 198만여 가구 중 약 37.01% 만이 주택용소방시설을 설치했다.

소방재난본부는 이 중 2010년부터 서울 시내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약 15만2000가구와 차상위계층 7만5000가구에 주택용 소방시설을 무료로 보급해왔다. 현재 41.8% 가구에 설치를 완료했다.

최근 3년 간 화재사망자 통계분석 결과, 2015년 사망자 27명 중 25명(92.5%), 2016년에는 사망자 40명 중 30명(75%), 지난해 사망자 37명 중 22명(59%)이 단독주택 등 주거시설에서 발생했다. 해마다 주거시설 사망자가 줄고는 있지만 여전히 높은 수치다.

정문호 서울시 소방재난본부장은 “매년 가장 많은 인명피해가 주택에서 발생하고 있다”며 “주택용 소방시설을 자력으로 설치하기 어려운 노약자, 거동이 불편한 화재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안전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생활밀착형 예방안전을 위해 주택용 소방시설 무상보급사업을 지속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yeonjoo7@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