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정부 ‘먹방 규제’ 꺼낸 속사정…남자 청소년 ‘너무 무거워진’ 탓?
먹방계 스타 밴쯔의 SNS동영상 캡처.

[헤럴드경제=이슈섹션] 정부가 국민의 체중 관리에 적극적으로 나선다. 고도비만 수술을 건강보험에 적용하고 폭식을 조장하는 ‘먹방(먹는 방송)’도 규제 가이드라인을 개발,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하는 내용을 담은 ‘국가 비만관리 종합대책’을 확정했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24일 국민건강증진정책심의위원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바탕으로 영양 표시 의무화 식품과 자율영양표시 대상 업종을 늘렸다.

자율영양표시 대상 업종은 올해 영화관, 내년 커피전문점, 2020년엔 고속도로 휴게소가 포함된다.

이와 함께 가공식품 당류 저감 지침 개발, 나트륨 저감 참여 급식소 음식점 2020년 1500여개로 확대 등을 추진한다.

정부가 국민 체중관리에 적극 나서게 된 계기는 우리나라 비만 인구의 빠른 증가 속도가 한 몫 한다. 비만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손실은 2006년 4조8000억 원에서 2015년 9조2000억 원으로 최근 10년간 약 2배 늘었다. 특히 남자 아동·청소년의 비만율은 26%로 이는 OECD회원국의 평균 25.6%보다 높은 수치다.

특히 건강한 식품선택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음주행태 개선을 위한 음주 가이드라인, 폭식조장 미디어(TV, 인터넷방송 등)·광고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할 예정이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