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동네북’ 된 편의점…은퇴후 ‘편의점 창업’ 옛말 되나
‘창업 안전지대’로 꼽혔던 편의점이 출혈 경쟁 외에도 최저임금 인상 여파로 일부는 폐업 위기에 처할 만큼 수익성이 떨어지고 있다. [연합뉴스]

소자본·진입장벽 낮아 한때 각광
최저임금 인상 탓…인기 꺼질 듯


#. 이은혁(가명ㆍ57) 씨는 지난해 초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에 편의점을 열었다. 29년간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자영업 전선에 뛰어들었다. 편의점은 다른 프랜차이즈와 비교해 초기 자금이 적게 들고, 수익률이 높지는 않지만 꾸준히 매출을 거둘 수 있는 안정적인 업종이라는 판단에서였다. 이 씨가 투자한 금액은 가맹비ㆍ점포 임차비용 등을 모두 합쳐 1억3000만원 가량이었다. 그는 “평생 월급쟁이로 밥벌이를 했고, 특별한 기술없이 소자본으로 창업할 수 있는 건 편의점뿐이었다”며 “몇개월이 지나자 사업 노하우가 쌓여 수익이 나는 듯 했지만, 최저임금 인상이라는 예상치 못한 악재로 점포 운영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했다.

편의점은 이처럼 퇴직자의 창업 아이템으로 인기를 누려왔다. 현재도 은퇴한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들의 편의점 창업은 그치지 않고 있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1987년 7개에 불과하던 전국 편의점 매장 수는 올해 4만개를 돌파했다. 편의점 급증은 소자본으로 비교적 쉽게 창업할 수 있다는 장점과 맞물린 측면이 크다.

국세청이 지난해 11월 공개한 ‘100대 생활업종 통계’에 따르면 편의점 사업자 수는 2014년 2만7116명에서 2015년 2만9995명, 2016년 3만3384명으로 증가했다. 이어 지난해에는 3만7017명을 기록했다. 2014년과 비교해 36.5% 증가한 수치다. 이 가운데 한 명의 점주가 여러개의 편의점을 운영하는 다점포 비율은 30% 가량이다.

수년동안 편의점 전성시대였다는 의미다. 이같은 편의점 활황은 브레이크가 걸릴 가능성이 농후하다. 최저임금이 2년 연속 두자릿수로 인상되면서 아르바이트 인력 의존도가 높은 편의점의 매력은 급감했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은퇴 후 편의점을 꿈꾸는 퇴직자는 아마 옛날 얘기로 남지 않을까 싶다”고 했다.

편의점은 그동안 ‘창업 안전지대’로 꼽혀왔다. 적은 자본으로도 일정 수익을 기대할 수 있었다. 커피전문점과 베이커리, 치킨집 등 프랜차이즈의 경우는 점포 임차비용을 제외하고도 최소 1억5000원에서 최대 3억원을 투자해야 한다. 반면 편의점은 적당한 점포를 정한 후 본사에 가맹비, 상품준비금 등 초기자금 2200만~2400만원만 내면 된다. 사업 모델도 사업자가 직접 점포를 임차하는 ‘가맹형’과 본사 소유ㆍ임차 점포를 받아 운영하는 ‘위탁형’으로 나눠져있다. 사업자는 여유 자금에 따라 사업 모델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진입이 쉬운 만큼 갈수록 상권 경쟁이 치열해 편의점 사업도 녹록치 않다는 평가가 지배적이었다. 전국 편의점 수는 2016년 3만개를 넘어선 이후 2년 만에 4만개를 돌파했다. 그만큼 시장이 포화 상태에 이르면서 근접 출점으로 인한 갈등 역시 적지 않았다.

편의점업계 관계자는 “출혈경쟁이 심해진데다 최저임금 인상까지 맞물리면서 편의점주들은 최악의 시기를 보내고 있다고 보면 된다”고 했다.

편의점 점포당 매출은 지난해 2월 3.5% 감소한 이후 12개월 연속 역신장했다. 올해는 지난 2월 0.4% 증가로 반등하면서 기대감이 커졌었지만, 최저임금 인상으로 신규 출점이 주춤한데 따른 착시 효과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편의점이 창업 안전지대인 시대는 끝났다”며 “점포 수 급증으로 타 점포와 상권이 겹치고, 인건비 부담이 커지면서 폐업도 늘어날 것”이라고 했다.

박로명 기자/dodo@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