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서울시, 장기간 방치된 가판대ㆍ구두수선대 318곳 정비
[헤럴드경제=장연주 기자]서울시는 영업하지 않고 장기간 방치돼 도시 미관을 해치고 보행을 방해하는 가로판매대(가판대)와 구두수선대 정비에 나선다고 9일 밝혔다. 올 상반기 268곳을 정비한데 이어 하반기에는 50곳을 더해 총 318곳을 정비한다.

이들 정비 대상 시설물은 공개경쟁입찰을 통해 선정한 업체에서 매각 및 철거를 진행한다. 또 일부 시설물은 ‘특례지원 사업’으로 제공한다. 올해는 28개의 가판대ㆍ구두수선대를 사회취약계층(서울시 의상자 2명, 노숙인 2명, 장애인 24명)에 지원했다. 시는 2014년부터 특례지원사업으로 130여 개의 시설물을 지원해왔다

가판대는 1983년부터 신문과 잡지를 팔던 매점과 88서울올림픽 당시 철거된 노점상의 생계대책으로 설치됐다. 구두수선대와 함께 도시환경정비방침으로 점용허가를 통해 관리돼 오다 이후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2001년 ‘서울특별시보도상영업시설물관리등에관한조례’가 제정됐다.

과거에는 구두 굽을 갈거나 버스 토큰, 신문과 잡지 등을 팔며 시민들의 편의시설 역할을 해왔지만, 편의점이 늘어나고 운영자 고령화 등으로 1990년대 4028개소에서 현재는 1955개소로 절반 이상 줄었다.

배광환 서울시 안전총괄관은 “한때 시민들의 편의시설로 이용돼 왔지만, 장기간 방치돼 보행에 방해되거나 도시미관을 해치는 시설물이 늘어나는 만큼 정비가 필요한 시설물은 적극 정비해 보행환경을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yeonjoo7@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