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UNIST 로버트 미첼 교수팀, 포식성 박테리아 생리학적 특성 규명
로버트 미첼(Robert J. Mitchell, 왼쪽) 교수와 임한솔 연구원(오른쪽).

- 병원균 생체막 제거해 감염 질환치료 도움 전망

[헤럴드경제(울산)=이경길 기자] UNIST(울산과학기술원, 총장 정무영) 생명과학부 로버트 미첼(Robert J. Mitchell) 교수팀은 최근 포식성 박테리아 벨로(BALO, Bdellovibrio And Like Organism)가 병원균이 만드는 ‘생물막(Biofilm)’을 분해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벨로는 그람음성균을 잡아먹고 살아가는 박테리아다. 벨로는 우리 몸에 해로운 병원균을 잡아먹으면서도 인체에는 무해하다는 특성을 가져 ‘살아있는 항생제’로 주목 받고 있다.

미첼 교수팀은 벨로의 특성에 대한 빈틈을 메우고자 그람양성균과 벨로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다. 연구진은 대표적 그람양성균인 포도상구균을 이용해 다양한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포식성 박테리아 ‘델로비브리오 박테리오보루스 HD100(Bdellovibrio Bacteriovorus HD100)’가 단백질 분해효소를 통해 포도상구균이 형성한 생물막을 분해하고 이를 영양분으로 삼는다는 것을 발견했다.

우리 몸에 상처가 생기거나 감염이 진행될 때, 세균들은 집단을 이뤄 생물막을 형성한다. 단백질, 지질 등으로 구성된 생물막은 항생제 내성을 높이고 약효를 막아 만성질환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감염질환의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이 생물막의 제거가 필수적이다.

로버트 미첼 생명과학부 교수는 “박테리아의 생물막은 인체 내 감염뿐만 아니라 물이 흐르는 관이나 수조 등 일상생활에서도 다양하게 발견할 수 있다”며 “벨로의 미생물막 분해 효과를 이용하면 친환경적으로 생물막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향후 활용할 분야가 많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국제미생물생태학저널(ISME Journal)’에 온라인판에 지난 5월 31일자로 게재됐다.

hmdl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