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세계유산위 결정문에 日군함도 조선인 강제노역 명기될 듯

[헤럴드경제=문재연 기자] 24일(현지시간) 바레인에서 개막한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회의에서 채택될 대(對) 일본 결정문에 3년 전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군함도’ 등 일본 산업시설에서 이뤄진 조선인 등의 강제노역 사실이 명기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 당국자는 25일 “27일께 결정될 것으로 보이는 결정문의 전문(前文)과 본문 각주에 일본 정부 당국자의 2015년 세계유산위원회 발언을 인용하는 형태로 강제노역 사실이 명기된다”고 전했다.

이 당국자는 “2015년 세계유산위원회 결정문에 명기된 일본 정부 대표 발언을 상기하는 내용이 들어있으며, 그 발언이 정확히 어떤 것이었는지 각주를 통해 확인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 2015년 7월 ‘군함도’로 불리는 하시마(端島)를 포함한 일본 근대산업시설 23곳의 세계유산 등재가 이뤄졌을 때 일본 정부당국자는 근대산업시설 중 일부에서 1940년대 한국인과 기타 국민이 자기 의사에 반(反)하게 동원돼 가혹한 조건에서 강제로 노역했다(forced to work)고 인정했다. 이 발언은 당시 결정문에 각주 형태로 명시됐다. 일본은 당시 시설들의 세계유산화를 추진하기 위해 우리 정부에 조선인 강제노역 여부를 명시하겠다고도 밝힌 바 있다.

정부 당국자는 이와 관련해 이번 결정문에 “일본이 2015년 결정문을 충실히 이행할 것을 요구하고 당사자간 대화를 독려한다는 내용이 결정문에 포함될 것”이라고 소개했다.

일본 정부는 2015년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세계유산 등재 시설에서 이뤄진 강제노역 사실을 인정하면서 희생자들을 기리기 위한 정보 센터 설치 등과 같은 적절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나 일본 정부는 약속한 기한에 맞춰 작년 11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센터에 제출한 851쪽 분량의 ‘유산 관련 보전상황 보고서’(경과 보고서)에서 조선인 등이 강제 노역을 한 산업 유산 관련 종합 정보센터를 해당 유산이 위치한 나가사키(長崎)현이 아닌 도쿄에 그것도 싱크탱크 형태로 설치하겠다고 밝혀 논란이 됐다.

일본 정부는 보고서에 ‘강제’(forced)라는 단어도 쓰지 않았다. 당시 “2차대전 때 국가총동원법에 따라 전쟁 전(前)과 전쟁 중, 전쟁 후에 일본의 산업을 지원(support)한 많은 수의 한반도 출신자가 있었다”는 우회적 표현도 사용해 국민들의 빈축을 샀다.

정부 당국자는 “작년 일본의 경과 보고서 내용을 수용할 수 없다는 정부의 입장은 단호하고 확실하다”며 “그것을 이번 세계유산위원회에서 확인받겠다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당국자는 또 “이번 결정문은 작년 일본이 제출한 이행경과 보고서에 대한 업데이트 보고서를 2019년 11월말까지 제출하도록 요청할 예정이며 그에 대한 평가는 2020년에 이뤄질 것”이라며 “정부는 지치지 않고 일본측이 충실히 후속조치를 이행하도록 국제사회와 협력해 외교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munja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