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김정은, 참매1호 아닌 中항공기 이용한 까닭은?
-한국시간 오후 3시36분께 도착

-숙소인 세인트 리지스 호텔 이동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오는 12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세기의 정상회담을 앞두고 10일 오후 싱가포르에 도착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오는 12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을 앞두고 10일 에어차이나 소속 보잉747 B-2447편으로 싱가포르에 도착했다.[사진제공=연합뉴스]


김 위원장은 이날 오후 2시36분(한국시간 3시36분)께 에어차이나 소속 보잉747 B-2447편으로 싱가포르 창이공항에 도착했다.

사각형 뿔테안경과 인민복 차림의 김 위원장은 싱가포르 당국의 삼엄한 경비 속에 VIP 전용출구로 공항을 빠져나온 뒤 싱가포르 체류 기간 숙소로 사용하는 세인트 리지스 호텔로 이동했다.

김 위원장이 세기의 담판이 될 6ㆍ12 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 길에 오르면서 자신의 전용기 ‘참매1호’가 아닌 미국에서 제조한 중국 소속의 항공기를 이용했다는 점이 눈길을 끈다.

에어차이나 소속 B-2447은 지난 8일 오후 베이징에서 평양 순안공항으로 이동했으며, 10일 오전 8시30분께 싱가포르로 출발했다.

B-2447은 중국 최고위급인사들이 이용하는 전용기로 과거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과 리커창(李克强) 총리 등이 이용했으며, 지난 5월에는 중국 공산당 서열 3위인 리잔수(栗戰書)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장이 아프리카 순방 때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은 북미정상회담을 앞두고 중국으로부터 B-2447을 임차한 것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의 전용기 참매1호도 이날 오전 B-2447이 평양 순안공항에서 이륙한지 1시간여 뒤인 9시30분께 싱가포르로 향했다.

미 대통령 전용기 ‘에어포스 원’(Air Force One)에 빗대 ‘에어포스 은’(Air Force Un)으로 불리기도 하는 참매1호는 옛 소련 시절 제작된 IL(일류신)-62M을 개조한 것이다.



북한은 1970년대 제작된 기종을 1982년 고려항공을 통해 도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IL-62M은 1960년대 개발된 IL-62를 1970년대 개량한 기종으로, 비행거리가 1만㎞에 달해 이론적으로 4800㎞ 떨어진 싱가포르까지 비행이 불가능하진 않다.

이 때문에 김 위원장은 참매1호에 탑승하고, 수행원들은 B-2447을 타고 먼저 싱가포르에 도착해 김 위원장을 맞이할 것이란 관측이 제기되기도 했다.

그러나 참매1호가 노후한데다 북한의 장기노선 운용 경험과 노하우, 조종사 부족 등을 고려해 최종적으로 중국 고위급인사의 전용기가 선택받은 것으로 보인다.

북한이 참매1호를 띄운 것은 김 위원장이 어느 항공기에 탑승하는지를 감추기 위한 의도적 조치로 풀이된다.

김 위원장이 참매1호가 아닌 중국 고위급인사의 전용기를 이용한 것을 두고 체면치레보다 실용성을 택했다는 평가도 나온다.

이와 함께 B-2447과 참매1호가 출발하기 앞서 수송기 IL-76도 이날 새벽 평양 순안공항에서 싱가포르로 향했다.

김 위원장은 지난달 두 번째 방중 때 참매1호와 별도로 편명 P-914가 적힌 IL-76을 수송기로 활용한 바 있다.

북한 당국은 이번 김 위원장의 싱가포르행을 위해 총 3대의 항공기를 띄운 셈이다.

IL-76은 최대 항속거리 6100㎞, 최대 이륙중량 17만㎏, 최고속도 시속 850㎞로 김 위원장이 싱가포르에서 이동할 때 이용할 방탄차(메르세데스-벤츠 S600 풀만 가드) 등을 실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신대원 기자 / 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