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미연합사 “한미연합훈련 연기나 취소는 정치권이 결정할 일”
-정치권 결정에 따라 연기 또는 중단 시사
-92년 ‘팀스피리트’ 한미연합훈련 중단 선례

[헤럴드경제=김수한 기자] 한미연합사령부가 한미연합훈련 연기나 취소에 대해 정치권이 결정할 일이라는 입장을 밝혀 그 배경이 주목된다.

한미연합사 측은 31일 헤럴드경제와의 통화에서 “한미연합훈련 중단이나 취소 여부는 정치권에서 결정할 일이지 우리가 결정할 일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연합사 측은 “우리는 일정에 따라, 계획된 대로 훈련하는 것이 우리의 임무”라고 덧붙였다.

일단, 지금까지 진행된 한미연합훈련에 대해 정치권이 연기나 중단 의지를 보이지 않았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또한 향후 정치권에서 결정할 경우 한미연합훈련의 연기나 중단 가능성을 시사한 것이기도 하다.

지난해 실시된 을지프리덤가디언(UFG) 훈련 장면 [사진=국방부]

한미연합훈련이 중단된 사례는 1992년 단 한 번 있었다.

당시 대화 국면에서 ‘팀스피리트훈련’이 중단됐고 다시 관계가 악화되면서 이듬해 재개됐다. 이 훈련은 94년부터 한미연합전시증원훈련(RSOI)으로 대체돼 2007년까지 지속됐고, 2008년부터 키리졸브로 다시 대체돼 현재에 이르고 있다.

북한은 최근 한미연합훈련에 대해 ‘상호 적대행위를 전면 중단한다’고 명시한 4.27 판문점선언과 배치된다며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

평창올림픽 때문에 3월에서 4월로 연기된 키리졸브연습 및 독수리훈련에 대해서는 ‘이해한다’는 반응을 보였지만, 이후 지속되는 한미연합훈련에 대해서는 중단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지난 맥스선더 훈련 때는 이를 빌미로 16일 예정된 남북고위급회담을 취소했다. 29일에는 북한 노동신문을 통해 북미정상회담을 원한다면 8월께 예정인 한미연합훈련 ‘을지프리덤가디언(UFG)’을 중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에 대해 국방부는 한미연합사와 같이 계획대로 실시한다는 입장이다.

북한의 문제 제기 당일 국방부는 “(UFG는) 한미간에 방어적으로 해왔던 연례 훈련”이라며 연기하거나 취소할 의지가 없음을 내비쳤다.

한편, 우리 군은 지난 28일부터 6월1일까지 4박5일간 공군 최정예 특수요원 ‘공정통제사(CCT)’와 육군 특전사가 적진에 침투하는 야전종합훈련을 실시 중이다.

정기적으로 실시되는 야전종합훈련에 공군과 육군 최정예 특수요원들이 함께 참가하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훈련은 실전처럼 최정예요원들이 고도 1만피트(약 3㎞) 이상에서 고공낙하한 뒤 적진에 침투해 본진의 대규모 공수부대 침투를 유도하는 공세적 개념으로 실시되고 있다.

군 관계자는 이 훈련에 대해 “한미연합훈련이 아닌 우리 군의 전술적 훈련으로 북한을 자극할 수준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soo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