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장애, 차별없는 세상 中-그들만의 性 ②] 발달장애인 성교육기관 ‘0’…부모에 떠넘기는 나라
- 발달장애인 성교육 절실한데 전문기관ㆍ전문가 없어
- 복지부 “소아정신과 의사가 부모에게 교육하는 게 적합”
- 부모들 “전형적인 부모책임론…정부 지원 늘려야” 분통


[헤럴드경제=정세희 기자] 발달장애인의 성폭력 피해는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는 발달장애인 성교육 전문가를 양성할 기관조차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18일 보건복지부(이하 복지부)에 따르면 현재 발달장애인을 위한 성교육 기관은 전국에 한 곳도 없다. 정부에서 양성하는 발달장애인 성교육 전문가, 프로그램 역시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복지부 관계자는 헤럴드경제와의 통화에서 “성교육이나 인식교육 사업을 할 때 발달장애인을 대상으로 따로 하지는 않았다. 발달 장애인 부모 교육을 하고 있지만 부족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보건복지부 [헤럴드경제DB]

복지부는 발달장애인 성교육은 기본적으로 부모가 하는 게 가장 적절하다는 입장을 내놨다.

복지부 관계자는 “자폐의 경우 의사소통이 안 되기 때문에 앉혀놓고 성교육이 무엇인지 설명하는 게 전달이 안 된다”며 “전세계 어디에서나 완벽한 매뉴얼이 있는 게 아니고 오랫동안 어려서 지켜보던 소아정신과 의사들이 그때그때 부모들에게 설명해주는 게 적합한 성교육”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발달장애인의 부모가 성교육을 하는 것은 쉽지 않다. 부모들은 인지능력이 떨어지는 아이의 성교육을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 성교육 전문가를 찾아 강의를 들으러 다니고 있는 게 현실이다. 윤종술 장애인부모연대 회장은 “소아정신과 의사도 발달장애 성교육 전문가는 아니다. 발달장애 부모들이 아무리 정부의 지원을 늘려달라고 호소해도 탁상공론만 펼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부의 발달장애인 성에 대한 인식도 현장과는 사뭇 달랐다.

복지부 관계자는 “자폐의 경우 이유를 알 수 없는 강박증을 갖고 있다. 지속적으로 성기를 만진다면 이는 성문제라기 보다는 강박행동”이라며 “먼저 도전적 행동에 대한 중재교육을 해야 하고 그 안에 성교육이 들어가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는 현장에서 발달장애인도 성적 욕구가 있고 이를 건강하게 해소하는 교육이 필요하다고 호소하고 있는 것과 배치된다.

복지부는 발달장애인 성문제 상담은 전국의 광역시도마다 있는 발달장애지원센터에서 지원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복지부 관계자는 “발달장애인 성 문제에 개입을 하려면 오랜 시간 유대관계를 쌓아야 한다. 장애의 정도에 따라, 장애인의 의사전달 수준에 따라 한 명 한 명 교육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말했다.

say@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