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부산시 특집1] 일자리 찾아 떠나던 부산 청년들, 일자리 찾아 돌아온다
‘민간 일자리 창출’에 시정역량 집중, 고용지표 개선
지역여건에 맞춤형 일자리 정책, 정부도 높게 평가
글로벌 기업유치, 강소기업 육성, 첨단산단 조성 등

[헤럴드경제(부산)=윤정희 기자] 일자리를 찾아 젊은이들이 떠나가던 부산의 고용환경이 크게 개선되고 있다. 지난해 부산 상용근로자 비중이 93년 이후 24년만에 전국평균을 추월했으며, 올해들어 이러한 추세는 더욱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17일 부산시의 통계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취업자중 1년 이상 계약기간에 해당하는 상용근로자 비중은 전국보다 0.1%p 높은 50.3%를 기록했다. 이러한 추세는 올해에도 이어져 지난 2월에는 부산의 상용비중이 53.0%까지 올라 전국보다 0.5%p 높아졌다.

또한 지난 3년간 전국의 사업체 종사자 증감현황을 전수조사한 결과, 부산이 서울과 수도권을 제외한 전국 지방자치단체 가운데 가장 큰 증가율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부산시는 이같은 내용의 자료를 공개하면서, 부산지역 기업들의 고용증가율이 전국 최고 수준으로 늘어났다고 밝혔다.

2014년부터 3년간 전국 사업체 종사자는 208만5000여명이 증가한 가운데 부산이 11만753명으로 1위로, 10만9126명이 증가한 인천보다 2000여명이 앞섰다. 이외에도 경남이 10만3359명으로 3위, 충남이 10만2145명으로 근소한 차이로 4위 증가율을 보였다..

이처럼 부산의 고용환경이 개선될 수 있었던 데는 ‘일자리 창출’을 위해 지난 5년간 꾸준히 매진해온 부산시의 노력이 있었다.

그동안 부산시는 일자리 창출 목표관리, 일자리 르네상스사업 등 지역 맞춤형 일자리와 관련된 선도적인 정책을 추진해왔다. 이러한 정책들은 대외적으로도 인정받아, 전국 지방자치단체 일자리창출평가에서 3년 연속 광역단체부문 ‘대상’ 수상, 전국 지방자치단체 일자리경진대회 2년 연속 ‘최우수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지난해 말에는 행안부, 일자리위원회에서 주최한 정부공공부문 일자리 우수사례 발표대회에서 ‘부산청춘드림카 지원사업’이 최우수상을 받기도 했다. 부산청춘드림카 사업은 대중교통이 불편한 산업단지 중소기업에 취업한 청년근로자를 위해 친환경 전기차 임차료를 일부 지원함으로써, 일터와 주거지가 멀어 발생하는 미스매치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부산시가 전국 최초로 추진한 시책이다. 이 사업으로 일자리 창출효과 뿐만 아니라, 전기 자동차산업 육성까지 지역경제에 1석2조의 효과를 가져오고 있어 정부차원에서도 전국적인 확대방안을 심도있게 검토하고 있다.

‘부산청춘드림카’ 지원사업 발표행사와 ‘청년 디딤돌 플랜’ 발표행사후 단체사진.

부산시 일자리 창출의 큰 그림은 ‘지역기업 경쟁력 강화’와 ‘우수기업 유치’를 통한 ‘민간 일자리’ 확대에 주안점을 두고있어 현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재정투입 일자리’와는 다소 차이를 보인다. 부산시는 기업을 통한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 두 마리 토끼를 잡기위해 지역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 및 경제 체질 개선에 시정 역량을 쏟고 있으며, ‘부산형 히든챔피언 육성’ 등 기업 성장단계별 맞춤형 지원을 펼쳐나가고 있다.

이를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지역 강소기업을 2016년 55개사에서 2018년말가지 100개사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이러한 부산시의 노력은 실제 부산지역 중견기업수 증가(2016년 152개→2017년191개)로도 나타나고 있다.

부산시는 창업 분위기 조성을 위해서도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지자체 최초로 센탑(센텀기술창업타운)을 개소해 민간주도형 창업지원프로그램인 ‘팁스’를 지역에 도입했고, 시제품 제작에 필요한 기술ㆍ장비를 지원하는 ‘메이커 스튜디오’를 오픈하는 등 2014년 25개소에 불과하던 창업 인프라를 2017년에는 56개소까지 대폭 확충해 혁신형 창업기반을 마련했으며, 창업 초기부터 성장에 이르기까지 단계별 맞춤형 펀드도 3000억원 규모로 조성해 운용 중이다.

기업 경쟁력 강화와 창업지원 못지않게 국내외 우수기업 유치에도 시정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민선 6기 출범 이후, 부산의 우수한 입지와 투자환경 등 부산만의 강점을 앞세워 현대글로벌서비스, MS데이터센터, 이케아 등 국내외 우수기업 107개사를 유치해 1조9066억원의 투자효과와 1만3862명의 일자리 창출 효과를 이뤄냈다. 특히, 최근 투자양해각서를 체결한 미국 GSC TECH R&D센터 유치의 경우, 부산이 글로벌 치의학산업 중심도시로 가는데 한층 더 힘을 실어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부산시는 4차 산업혁명과 신산업 유치를 위한 첨단산업단지 조성에도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센텀 2지구 도시첨단산업단지 조성이 대표적으로 반여ㆍ반송ㆍ석대동 일원에 195만㎡ 규모로 조성될 예정이다. 유치업종으로는 ICT, Bio-Health, 융합부품 소재, 영화ㆍ영상콘텐츠 등이며, 올해 그린벨트 해제 및 산단계획 수립을 목표로 추진 중이다. 부산시는 센텀 2산단 조성이 지식산업 창업 생태계 조성 및 청년일자리 창출에 중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러한 부산시의 일자리 창출에 대한 노력은 사회적 약자인 청년과 소상공인에 대한 체감형 정책으로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5월 ‘청년 디딤돌 플랜’을 시작으로 ‘골목상권 스마일 프로젝트’, ‘젠트리피케이션 방지 종합 대책’ 등 굵직한 정책을 마련해 추진하고 있으며, 올해부터는 본 궤도에 올라갈 것으로 예상된다.

직업을 찾기위해 부산을 떠나는 순유출 인구가 2013년에는 1만3366명이었으나 2017년에는 7561명으로 5805명 43.4%가 줄었다.

표1ㆍ2=부산과 전국 전체취업자중 상용근로자 비중 추이 및 전국과의 상용근로자 비중 격차(단위 %ㆍ%p, 부산시 제공)

특히 전체 순유출 인구 중 20대의 비중이 2013년에는 38.8%(6868명)를 차지했으나 2017년에는 19.9%(5642명)로 줄었다. 부산고용의 산업구조 개편이 부산의 젊은이들이 직업을 찾아 외지로 나가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 것으로 풀이됐다.

서병수 부산시장은 “부산의 고용환경에 있어 긍정적인 방향으로 산업구조 개편이 되고 있다”면서 “부산의 미래인 젊은 청년들이 더 이상 직업을 찾아 외부로 나가지 않아도 되는 부산을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 하겠다”고 전했다.

cgnh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