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취소된 한미 상륙훈련에 빈센트 브룩스 사령관 참관 “안전이 가장 중요”
-브룩스 사령관 헬기타고 강습함 이동
-“미군 훈련은 안전이 가장 중요”


[헤럴드경제=김수한 기자] 빈센트 브룩스 한미연합사령관이 5일 취소된 한미 해병대 상륙훈련 현장을 참관해 장병을 격려했다.

5일 군 당국에 따르면, 브룩스 사령관은 전진구 해병대 사령관과 함께 이날 헬기를 타고 미 해군 강습상륙함인 와스프함, 한국 해군 강습상륙함인 독도함에 승선해 훈련을 참관하고 장병을 격려했다.

이날 예정된 한미 해병대 대규모 상륙훈련은 기상 악화를 이유로 취소됐다.

원래 이날 한미 해병대는 포항 앞바다와 해변 일대에서 상륙훈련의 핵심인 ‘결정적 행동’을 실시하려고 했다.
한미연합훈련을 마친 해병대가 5일 포항신항에서 부대로 복귀하고 있다. [사진제공=연합뉴스]

결정적 행동은 상륙함이 병력과 장비를 해변에 내려놓으면 적의 필사적인 방어선을 뚫고 적 기지를 점령하는 상륙훈련의 하이라이트다.

수천명의 장병, 공기부양정, 상륙돌격장갑차, 전차 등이 일시에 해변가로 배치되고 상륙함에 탑재된 수직이착륙 스텔스전투기 F-35B, 수직이착륙 수송기 MV-22 ‘오스프리’, 전투헬기 등이 공중에서 지원사격을 실시한다. 강습상륙함에서는 해안 적 진지로 함대지 미사일을 발사, 육해공 입체적 진지점령 작전이 펼쳐진다.

그러나 이번 훈련에는 상륙훈련이 취소됐고, 공중 작전도 상당 부분 제한됐다.

이번 훈련은 한미 군이 격년(짝수년)으로 실시하는 연례 쌍룡훈련이다. 올해는 춘계 대규모 한미연합훈련인 독수리훈련(FE)과 키리졸브연습(KR)의 일환으로 실시된다.

한미 군 지휘부는 전날인 4일 저녁 파고가 높아 대규모 상륙훈련을 실시하기엔 위험하다고 판단, 훈련을 전격 취소했다.

군 관계자는 “훈련 중 안전을 가장 중요시하는 주한미군의 특성이 반영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훈련에는 미 해군의 와스프함(LHD-1)과 본험리처드함(LHD-6) 등 강습상륙함 2척, 우리 해군의 1만4500t급 대형수송함 독도함과 4500t급 상륙함 등이 참가했다.

와스프함은 수직이착륙이 가능한 스텔스전투기 F-35B 5∼7대를 탑재한 것으로 알려졌다. F-35B가 쌍룡훈련에 투입된 건 올해가 처음이다.

이날 상륙작전을 위해 함상에서 대기중이던 한미 해군 및 해병대는 상륙훈련 없이 해변 일대로 장소를 옮겨 지상작전으로 전환했다. 이어 내륙의 적 핵심시설을 공격하는 훈련을 실시한 뒤 8일 쌍룡훈련을 마무리한다.

soohan@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