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靑 “아베총리 전화통화서 文대통령 초청 없었다”
日교도통신의 인용보도 부인
재팬패싱 우려불식 잇단 무산


일본이 한반도 유화국면에서 배제되는 이른바 ‘재팬 패싱’ 불식을 위해 안간힘을 쓰는 모습이다.

일본 교도통신은 3일 복수의 일본 정부관계자를 인용해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가 지난달 16일 문재인 대통령과 전화통화에서 남북정상회담 개최 이전 일본 방문을 요청했다고 보도했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문재인 대통령에게 오는 27일 남북정상회담 개최 이전에 일본 방문을 요청했다고 교도통신이 보도하는 등 ‘재팬패싱’을 우려하는 일본 정부의 움직임이 다급해지고 있다. 사진은 지난달 아베 총리가 지난달 28일 의회에 참석한 모습. [도쿄=로이터연합뉴스]

아베 총리가 지난 2월 평창 동계올림픽 개막식 때 한국을 방문한 데 대한 문 대통령의 답방을 요청했다는 것이다. 5월초 도쿄에서 한중일 정상회의가 개최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일본이 문 대통령의 별도 조기 방문을 요청한 것은 남북정상회담에 앞서 한일 간 의견을 조율하자는 의도로 풀이된다.

그러나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4일 아베 총리가 전화통화에서 문 대통령을 초청했는지를 묻는 질문에 “없었다”고 일축했다.

외교가 안팎에선 이를 두고 북한이 남북정상회담과 북미정상회담에 합의한데 이어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전격적인 열차방문을 통한 북중정상회담까지 열리는 등 한반도정세가 급박하게 돌아가는 상황에서 유독 일본만 배제되고 있는 데 따른 위기감에서 비롯된 해프닝이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된다. 그동안 강경한 대북압박에만 매달려온 일본은 곤혹스런 모습이다.

일본은 여러 루트를 통해 아베 총리와 김 위원장 간 북일정상회담을 타진했지만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오히려 북한은 남북정상회담과 북미정상회담 합의 이후 관영매체에서 한국과 미국에 대한 노골적 비난 수위를 낮추는 대신 일본을 겨냥한 비난공세를 강화하고 있는 형편이다.

일본의 ‘재팬 패싱’ 우려에 따른 조급함이 문제가 된 것은 이뿐만이 아니다. 앞서 일본 내에서는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조선총련)를 통해 북한에 북일정상회담을 제안했고 북한도 6월 북일정상회담 개최를 고려하고 있다는 관측이 제기되기도 했으나, 조선총련 관계자가 언론인터뷰를 통해 “완전한 날조”라고 반박하면서 망신을 사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고노 다로(河野太郞) 외무상이 최근 북한이 새로운 핵실험을 준비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고 했으나 미 북한전문매체 ‘38노스’가 상업위성 사진상으로는 이를 뒷받침할만한 근거가 없다고 반박한 것 역시 같은 맥락이라 할 수 있다.

‘재팬 패싱’을 불식시키기 위한 일본의 발걸음은 앞으로도 바빠질 것으로 보인다.

아베 총리는 오는 17일 미국을 방문해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을 만나고, 고노 외무상은 내주 방한해 문 대통령과 강경화 외교장관을 만날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선 아베 총리가 트럼프 대통령을 통해 김 위원장에게 북일정상회담을 희망한다는 의사를 전달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신대원 기자/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