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美, 북미정상회담 기대감…펜스, 北 핵ㆍ미사일 시험 중단 “놀라운 진전”
-맥매스터 “이번 기회에 대해 낙관하고 있어”
-美, 北 향한 경계섞인 ‘건전한 의심’ 주문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역사상 첫 북미정상회담이 가시권에 들어온 가운데 미국 행정부 고위인사들은 강력한 대북압박 지속을 강조하면서도 대화를 통한 북핵문제 해결에 대한 기대감을 내비쳤다.

마이크 펜스 미 부통령은 북한의 핵ㆍ미사일 시험중단과 한미연합훈련 양해 시사에 대해 “놀라운 진전”이라고 평가했다고 로이터통신이 1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사진=게티이미지]

펜스 부통령은 이날 저녁 방영 예정인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북한의 변화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냉정한 접근법이 가져온 성과”라며 이같이 밝혔다.

펜스 부통령은 이어 “대통령이 북한 정권에 유례없는 경제ㆍ외교 압박을 가해 이런 돌파구가 마련됐다. 대통령이 세계무대에서 선보인 강력한 리더십의 결과”라며 “돌파구가 맞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펜스 부통령은 다만 북한의 비핵화 가능성에 대해서는 “대통령이 자주 하는 말처럼 ‘두고보자’”라며 말을 아꼈다.

이와 함께 허버트 맥매스터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보좌관은 같은 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이사국들을 대상으로 북미회담에 대한 미국 측의 입장을 설명하는 자리에서 북미정상회담과 관련, “이번 기회에 대해 낙관하고 있다”고 밝혔다.

맥매스터 보좌관의 발언은 “비핵화를 향한 북한의 말과 행동이 일치하고 실질적 진전이 있을 때까지 ‘최대한 압박’을 계속할 것”이라며 실질적인 북한의 비핵화 조치까지 대북제재가 계속될 것임을 강조하는 과정에서 나왔다.

그러나 펜스 부통령과 함께 맥매스터 보좌관이 미 행정부 내 대표적인 대북강경론자로 평가받고 있다는 점에서 북미정상회담에 대한 이 같은 긍정적 평가는 이전과 사뭇 달라진 것이라 할 수 있다.

맥매스터 보좌관은 북미대화 진전 분위기와 관련해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1년 전 북한에 대한 ‘최대 압박’ 전략을 승인했으며, 강력한 대북제재 결의 채택으로 단합과 결의를 보여준 안보리 이사국들에 트럼프 대통령이 감사를 표시할 것을 원했다”면서 “그것이 우리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위한 외교적 해법을 추구할 수 있는 현 지점까지 오게 했다”고 평가했다.

맥매스터 보좌관은 이날 비공개회의에서 북한에 대한 ‘건전한 의심’을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화를 통한 북핵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되 북한이 비핵화를 행동으로 옮길 때까지 경계를 늦추지 않으면서 제재와 압박을 계속해야한다는 맥락이라 할 수 있다.

조태열 주유엔한국대사는 미측의 입장에 적극 동의하면서도 현 상황에 대해 “일생에 한 번 있을까 말까하는 절호의 기회”라면서 “기회는 꼬리가 없어서 (지나가면) 뒤에서 잡을 수 없다”고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안보리 순회 의장국인 카렐 반 오스테롬 유엔대사도 “외교적 접촉을 환영하고, 우리에게 핵심 이슈는 한반도의 비핵화”라며 “우리는 대북제재를 계속 이어가야 하고 북한의 발언과 행동은 일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대원 기자 / 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