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文, 3ㆍ1절 기념사…與 “‘이승만 국부’는 잘못” 野 “불필요한 논란”
[헤럴드경제=홍태화 기자] 여야가 문재인 대통령 3ㆍ1절 기념사에 대해 엇갈린 반응을 내놨다. 여당은 1919년 임시정부 수립을 대한민국 건국으로 봐야 한다는 문 대통령 주장을 환영했고, 야당은 불필요한 논란을 불러일으킨다고 비판했다.

김현 더불어민주당 대변인은 1일 논평을 통해 “헌법 전문에는 ‘유구한 역사와 전통에 빛나는 우리 대한민국은 3ㆍ1운동으로 건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한다’고 명시돼있다”며 “순국선열과 애국지사들의 고귀한 피와 땀, 희생이 있었기에 대한민국의 수립이 가능했다”고 강조했다.

특히 민주당 두뇌집단인 민주연구원은 3ㆍ1절을 기념해 발간한 ‘대한민국 정통성 확립을 위한 역사의 재정립’ 보고서를 통해 “이승만 전 대통령만을 국부로 보는 ‘8ㆍ15일 건국절’은 잘못된 것”이라고 밝혔다.

[사진설명=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1일 오전 서울 서대문형무소 역사관에서 열린 제99주년 3ㆍ1절 기념식에 참석하기에 앞서 옥사를 둘러보며 생각에 잠겨 있다. 사진제공=연합뉴스]


연구원은 보고서에서 “대한민국이 3·1 운동으로 건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로부터 계승하고 있다는 것이 역사적 정통성”이라며 “제헌 헌법과 현행 헌법은 대한민국이 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했다고 명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정태옥 자유한국당 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문 대통령이 건국 100주년을 언급한 것은 근대사에 대한 논란을 재점화시킬 우려가 크다”며 “정치적으로 첨예하게 대립하는 사안에 대해 논란과 갈등을 유발할 소지를 불러일으킨 것은 신중치 못한 발언이었다”고 비판했다.

문 대통령이 일본 정부의 위안부 문제 대응을 강력히 비판한 데 대해선 “일본과 국제관계가 어려운 상황에서 꺼낸 강경책이 과연 바람직한지 걱정이 앞선다”고 말했다.

안보 관련 내용에는 “평화공동체 등을 거론하면서도 한반도 비핵화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이 없는 대북 저자세에 우려를 표한다”며 “(3ㆍ1절 기념사가) 대북관계에서 지나치게 긍정적인 점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th5@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