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문화예술인 월수입 100만원…“경제적 취약성이 ‘권력형 성폭력’ 키웠다”
-한국여성인권진흥원, ‘#Me Too를 위하여’ 포럼 개최…
-“일자리ㆍ후원 미끼로 성관계 등 부당요구 업계 만연”
-“예술가 왜곡된 성의식 학습…정부주도 정책 중요”


[헤럴드경제=강문규 기자]“지난 2015년 예술인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문화예술인 67%의 월평균 수입이 100만 원 이하인 상황에서 여성들에게 일자리나 후원을 제시하며 성관계를 강요하는 부당한 대가성 요구가 업계에 만연해 있다.”

성폭력 피해를 고발하는 ‘미투’(me too, 나도 당했다) 운동이 확산하는 가운데 문화예술인의 경제적 취약성이 ‘권력형 성폭력’을 키웠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여성인권진흥원(원장 변혜정)은 27일 ‘젠더기반폭력에 맞선 우리의 외침 - “더 많은, 더 큰 #Me Too”를 위하여’를 주제로 제 2회 이후포럼을 개최했다.

[사진=연합뉴스]

이번 포럼의 첫 번째 발제자로 나선 신희주 영화감독은 발제를 통해 문화예술인의 경제적 고립과 성범죄 발생의 상관관계, 학연ㆍ지연ㆍ유명세 등이 복잡하게 얽혀있는 권력관계 등을 문화예술계의 성범죄 발생원인 등으로 꼽았다. 신 감독은 “수많은 예비 예술가들은 어릴 때부터 여성을 성적인 대상으로 여기는 예술 작품에 노출되며 그로인해 왜곡된 성 의식을 학습한다”며 “예술이라는 가림막 너머 수많은 피해자를 양산한 문화권력에 균열을 내기 위해서 인권을 보장하는 정부 주도의 예술정책 실행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법률사무소 유림 이선경 변호사는 “성폭력 피해를 입게 되면 사법적인 구제 절차를 밟거나 가해자가 속한 조직에 징계를 요청할 수 있도록 법제도가 완비되어 있지만 피해자들이 공식적인 창구가 아닌 미투 대열에 합류하고 있는 이유에 대해 생각해 보아야 한다”고 꼬집었다. 이어 “미투운동은 피해자의 마지막 구조신호이며 우리 사회가 외면하고 있던 성폭력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라며 미투 폭로와 관련해 명예훼손 고소에 대한 문제점과 대응전략에 대해 안내하기도 했다.

전국성폭력상담소협의회 배복주 상임대표는 “조직 내에서 피해여성은 자신이 겪은 성적침해, 성적 괴롭힘, 성폭력 경험을 말할 때 ‘다른 의도’를 의심받고 ‘꽃뱀’으로 몰아가는 주변인의 시선과 맞서야 하고, 가해자의 역공에도 단단한 마음으로 준비해야 한다”며, “권력적이고 위계적인 조직문화를 평등하고 존중하는 조직문화를 위해 권력을 분산하고 견제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국여성인권진흥원은 이후포럼에서 논의된 내용들을 바탕으로 성폭력・성희롱 없는 한국 사회를 위한 피해자 관점에서의 다양한 대책을 모색하고, 대국민 참여를 독려할 계획이다.

mkkang@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