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인천시, ‘개항창조도시 재생사업(상상플랫폼)’ 사업시행자 지정
[헤럴드경제(인천)=이홍석 기자]인천지역 내 폐 항만 창고가 문화 혁신공간으로 새롭게 탄생한다.

인천광역시는 인천 개항창조도시 재생사업 도시재생활성화지역 내 폐 곡물창고를 활용해 문화 혁신공간으로 리모델링하는 ‘상상플랫폼 조성사업’에 대해 해양수산부로부터 사업시행자 지정을 받았다고 27일 밝혔다.

인천 내항 8부두에 위치한 이 곡물창고는 지난 1978년 건립된 이래 40여년간 항만물류의 생산기지 역할을 해왔다. 그러나 인천항 기능 재배치 계획을 담은 ‘인천 내항1ㆍ8부두 항만재개발 사업계획(‘15.3)’에 따라 문화 및 집회시설로 새롭게 탄생된다. 기둥과 벽이 없는 단일공간(V=15만㎥, L=270m, B=45m)으로는 아시아 최대 규모다.

인천시는 새롭게 탄생되는 상상플랫폼 내에는 청년 일자리 및 창업 등을 지원하고, 3D 홀로그램, 가상현실, 게임 등 미래성장산업과 공연예술·문화‧쇼핑판매 기능 등을 도입하여 대규모 집객 공간인 상상플랫폼을 조성한다.

이 사업은 부지 2만3903㎡에 사업비 총 396억원이 투입되고 오는 4월 공모를 통해 운영업체를 선정하고 하반기 공사에 착수해 오는 2019년 상반기 내 준공 할 계획이다.

시는 앞으로 내항 일원의 상상플랫폼 조성을 시발점으로 월미도 관광특구, 인천역, 차이나타운, 개항장, 자유공원, 동인천 배다리까지 이어지는 근대역사 문화를 벨트로 묶어 관광명소로 만들 방침이다.

이렇게 되면 4만7000여명의 고용유발 효과가 발생될 것으로 기대됨에 따라 인근에 설치된 아트플랫폼, 북플랫폼, 누들플랫폼, 쇼핑플랫폼(신포시장)의 기능을 서로 연계해 시너지 효과를 높일 계획이다.

시는 또 한국철도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 인천항만공사, 인천도시공사 등 유관기관과 유기적인 협업체계를 구축해 인천역 복합역사 개발과 내항1ㆍ8부두 항만재개발사업 등 민간투자사업을 촉진할 계획이다.

gilbert@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