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文대통령 ‘최소한의 양보’에 시각차 확인해준 北·美
트럼프 “적절한 조건아래 대화”
北 외무성 핵무력 의지 재확인


평창동계올림픽 계기 북한과 미국이 각각 대화의사를 밝히면서 북미 예비회담 성사여부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하지만 북미 예비회담 성사를 위해 문재인 대통령이 제안한 최소한의 양보를 미국과 북한은 간접적으로 거부하고 나섰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6일(현지시간) 북미대화에 대해 “그들은 대화를 원하고 있으나 우리는 오직 적절한 조건 아래서만 대화하기를 원한다”며 “그렇지 않으면 대화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이 북미대화 의사를 밝힌 이후 나온 트럼프 대통령의 첫 공식 언급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적절한 조건’에 대해 구체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전문가들은 비핵화를 의미한다고 분석했다. 비핵화가 전제되지 않는 대화는 의미가 없다는 게 트럼프 행정부의 입장이기 때문이다. 문 대통령이 류옌둥 중국 국무원 부총리를 만나 “미국이 대화의 문턱을 낮출 필요가 있다”고 밝힌 것에 대한 대응성격으로도 해석될 수 있다.

앞서 백악관은 전날 대변인 성명을 통해 “미국과 대화할 용의가 있다는 북한의 메시지가 비핵화로 가는 첫걸음인지 지켜보겠다”며 “북한과 어떠한 대화도 비핵화로 이어져야 한다”고도 밝힌 바 있다.

북한도 마찬가지다. 문 대통령은 류 부총리에 “북한이 비핵화 의지를 보여야 한다”고 말했지만, 북한은 미국과 대화할 용의가 있다고만 말했다.

심지어 외무성 대변인 담화에서는 핵무력 의지를 재확인했다. 전날 조선중앙통신은 외무성 대변인 담화를 소개했다. 담화는 미국의 대북제재를 비난하며“미국의 이런 위협에 대처해 자신을 지키기 위한 ‘정의의 보검’인 핵무기를 보유했다”며 “우리는 그 어떤 봉쇄도 전쟁 행위로 간주할 것이며, 미국이 정말로 우리와 ‘거칠게’ 맞설 담력이 있다면 굳이 말리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핵보유국 지위에 대한 의지를 내비친 발언이다.

프랭크 엄 미국평화연구소 선임연구원은 본지와의 이메일 인터뷰에서 “미국과 북한 양측의 근본적인 입장이 바뀌지 않는 이상 예비대화가 이뤄진다고 해도 성과를 거두기 어려울 것”이라며 “평창올림픽으로 문재인 정부는 북한과 미국을 한자리에 끌어들일 수는 있었지만, 양측의 입장변화가 이뤄지진 않았다”고 지적했다.

외교부 관계자는 이르면 내주 쯤 미국을 방문해 북핵문제를 협의할 것이라고 전했다. 또 “미측과는 상시 협의가 이뤄지고 있다”며 “방미나 오찬 등 직접적인 만남이 아니더라도 외교채널을 통해 협의가 이뤄진다”고 설명했다. 한편, 미국 정보당국의 핵심관계자는 올림픽 기간 방한했다가 이방카 일행에 앞서 25일 귀국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재연 기자/munja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