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딱히 설 대목이랄 것도 없지만…단골손님 맞는 재미에…”
설 한달 앞두고 공덕·용문시장 가보니…
아직 한산한 분위기…고령층 손님 대부분
설 대목 옛날 얘기…손님 예전 반밖에 안와

“미역 다 가져가. 남은거 떨이로 줄게. 어차피 장사 안돼서 팔리지도 않아.”

지난 15일 서울 마포구 공덕시장. 이예준(81ㆍ여) 씨는 비닐봉투로 물기가 바싹 마른 미역 줄기를 한 웅큼 집었다. 바스락거리는 봉투를 단단히 묶어 단골손님에게 건넸다. 그녀가 받은 돈은 꼬깃꼬깃한 천원짜리 지폐 한장. 그래도 한기가 서린 그녀의 양빰이 올라가며 미소가 무르익었다.

“고마워 진짜로….”

이 씨가 고무장갑을 낀 손으로 단골손님의 옷깃을 잡으며 배웅한다.

“30살 때부터 장사해서 이제 50년 정도 됐어. 10년 전부터 손님이 줄어들기 시작하더니 이제는 예전의 반도 안와. 그나마 설 때는 조금이라도 팔려. 어쩌겠어. 그저 세월 따라가는 거지. 단골손님들도 정으로 와주는 거지 뭐….”

  
지난 15일 찾은 서울 마포구 공덕시장. ‘설 대목’이 아직 한달이나 남아 있어서 그런지 한산한 분위기였다. 시장 상인들은 설이 와도 옛날만큼 못하다며 그래도 단골손님들이 있어서 버틸 수 있다고 했다.
박로명 기자/dodo@

‘설 대목’을 정확히 한달 앞두고 재래시장을 둘러봤다. 설이 한달이나 남았다고는 하지만, 공덕시장은 허전한 분위기가 감돌았다. 가득 부풀어 오른 패딩을 입은 채 휘적휘적 발걸음을 재촉하는, 많지 않은 행인들 사이에서 상인들의 우렁찬 목소리는 울려퍼졌지만 흥정은 좀처럼 이뤄지지 않았다.

“어서오세요 김 맛있어요! 잡숴봐요.”

“뭐 찾아요? 싸게 드릴게 가져가.”

상인들은 제각각 과일과 채소, 곡물, 각종 수산물 등을 내놓고 한껏 목청을 높였다. 정육점, 떡집, 빵집, 족발집 등 다양한 음식점에선 진한 삶의 냄새가 풍겼지만, 대부분 손님들은 무심코 지나갔다.

같은 날 오후 4시께 서울 용산구 용문시장의 분위기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다만 뒷짐을 진 50~70대의 장년층, 노년층 손님들이 드문드문 보였다. 이들은 매대에 진열된 생선, 채소 등을 두고 흥정을 하고 있었다.

“이거 매생이 하나 1500원에 줘.”

머리가 희끗한 한 손님이 걸걸한 목소리로 운을 떼자 수산물 판매상 한모(42ㆍ여) 씨는 “이거 두개에 1800원에 가져온건데 지금도 싸다”며 맞받아쳤다. 이어 “설이 다가올수록 1000원씩 올라서 나중에 더 비싸진다”며 쐐기를 박는다. 고민을 하던 손님은 검은 봉투에 매생이를 가득 담아갔다.

한 씨는 “설 대목이 언제냐”는 질문에 “장사가 안돼서 대목이랄 게 없지만 설 일주일 전부터 명절에 끓여먹는 매운탕거리가 제법 나가고 굴, 대하. 주꾸미 등도 간간이 팔린다”고 했다.

이홍주(58) 농우축산 사장은 14년 동안 용문시장을 지켜왔지만 “설 대목은 옛날 얘기”라며 고개를 가로저었다. 그는 “대형마트가 생긴 이후 손님이 10~20% 정도 줄었다”며 “그래도 재래시장만의 장점이라고 한다면, 유도리(융통성)가 있는 것 아니겠느냐”고 했다. 그는 “마트에서 4만~5만원대에 판매하는 한우 사골을 단골 손님들에게는 2만~3만원까지 깎아주기도 한다”며 “재래시장이 운영될 수 있는건 잊지않고 꾸준히 찾아오는 단골 손님들 때문”이라고 했다. 

박로명 기자/dodo@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