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정부 “거래소 폐쇄 검토”…시장 “할 테면 해봐라” 코웃음
해외거래소로 계좌이동 쉬워
20일부터 국내 신규진입 허용
투자자 몰리며 가격급등 기대

[헤럴드경제=신소연 기자]정부가 가상통화 거래소 폐쇄 가능성까지 제기하며 압박수위를 높였지만, 정작 업계는 코웃음이다. 설령 국내 거래소를 폐쇄해도 해외거래소를 이용하면 되기 때문이다. 오히려 국내 거래소 신규진입 차단이 풀리는 20일을 기점으로 그간 눌려 있던 가상통화 가격이 오르면서 그 가치가 한 단계 레벨업될 것으로 보고 있다.

11일 금융권에 따르면, 최근 비트코인 등 가상통화 투자자들이 모인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해외 거래소에 대한 문의가 급증하고 있다. 정부의 규제로 시장의 신규 진입이 어려운데다 국내 거래소의 잇따른 해킹 및 서버 다운 사고가 이어지자 잠시 해외 거래소에서 ‘떨어지는 칼’을 피하려는 생각에서다.


이들이 해외 거래소로 눈을 돌릴 수 있는 것은 가상통화의 기술 기반이 블록체인이다 보니 거래소를 옮기기가 수월하기 때문이다. 자신이 거래하던 국내 거래소에서 보유 코인을 가상통화 업계의 기축통화 격인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 테더 등으로 바꾼 후 코인 종류별로 지갑 주소를 만들어 전송하면 해외거래소 사이트로 옮길 수 있다.

특히 홍콩계 거래소인 바이낸스나 쿠코인 등은 글로벌 시장을 공략하고자 한국어 등 여러 언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 언어 장벽도 사라졌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실제로 한국에서 바이낸스 홈페이지를 접속해보면 한국어 홈페이지가 떠 회원가입 및 거래가 어렵지 않다. 물론 외국인 인증을 받아야 해 다소 시간이 걸리지만, 이 절차만 끝나면 국내 거래소와 마찬가지로 간단하게 거래를 할 수 있다.

다만 김치프리미엄 때문에 국내 가상통화 가격이 해외보다 30%가량 높아 해외 거래소로 옮길 경우 프리미엄만큼 코인 가치가 하락할 수 있다. 하지만 코인을 현금화할 때 한국으로 송금해야 하기 때문에 이때 프리미엄 손해분이 상쇄된다는 설명이다.

이처럼 가상화폐가 거래 기반을 쉽게 옮길 수 있어 정부가 거래소 폐쇄 등 강력한 규제를 한다고 해도 가상화폐 거래 자체를 막을 순 없다는 게 업계의 공통된 시각이다. 정부 규제기간 잠시 해외 거래소로 피해있다가 풀리면 다시 돌아오면 되기 때문이다.

이에따라 소유주 신원 확인 시스템 구축으로 신규 진입 차단이 풀리는 20일 이후에는 국내 거래소에서 가상통화 가격이 급등할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의 규제가 오히려 가상통화 시장에 호재로 작용할 것으로 보는 것이다.

국내 시장 진출을 망설였던 신규 거래소들도 이달 말 이후 홈페이지 오픈 날짜를 잡기 시작했다.

한ㆍ중 합작 거래소 ‘지닉스’ 오픈을 준비 중인 코리아코인익스체인지 관계자는 “당초 1월 초께 거래소 오픈을 계획했지만, 당국의 조치로 시기를 조율하는 중”이라며 “이번 달 30일이나 31일께 오픈을 목표로 서버 안정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carrier@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