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박근혜 ‘특활비 뇌물' 변호사 선임…유영하는 어떤 인물?
[헤럴드경제=이슈섹션] 박근혜 전 대통령이 추가 기소된 ‘국가정보원 특수활동비 뇌물 상납’ 사건에 대응하기 위해 유영하(56·사법연수원 24기) 변호사를 재선임했다.

6일 교정 당국에 따르면 박 전 대통령은 4일 오전 서울구치소에서 유 변호사를 접견하고 변호사 선임 계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이날 오전 9시께 구치소를 찾은 유 변호사는 미리 변호사 선임계를 준비해 박 전 대통령을 접견한 것으로 확인됐다. 유 변호사는 접견이 끝난 직후 박 전 대통령의 지장이 찍힌 변호인 선임계를 구치소에 제출했다.

이날은 검찰이 박 전 대통령을 국가정보원으로부터 36억5000만원의 뇌물을 받고 국고를 손실한 혐의로 추가 기소한 날이다. 박 전 대통령이 유 변호사를 다시 선임한 것과 관련 국정원 특활비 사건과 관련해 적극적으로 방어권을 행사하겠다는 의지를 보인 것으로 풀이된다.

박근혜 전 대통령이 추가 기소된 ‘국가정보원 특수활동비 뇌물 상납’ 사건에 대응하기 위해 헌법재판소 탄핵심판과 국정농단 뇌물 형사재판 등을 맡았던 유영하(56·사법연수원 24기) 변호사를 다시 선임했다. 6일 교정 당국에 따르면 박 전 대통령은 4일 오전 서울구치소에서 유 변호사를 접견하고 변호사 선임 계약을 맺었다. 사진은 2017년 3월 22일 박근혜 전 대통령과 유영하 변호사(왼쪽)가 서울 서초동 서울중앙지검에서 조사를 받은 뒤 함께 검찰청사를 나서는 모습.[사진=연합뉴스]


법조계 대표적인 ‘진박’인물로 알려진 유영하 변호사는 박 전 대통령이 탄핵심판에 이어 삼성 뇌물 등 18개 혐의로 기소된 사건의 변호인단중 한명으로 활동하다 지난해 10월 16일 박 전 대통령의 구속 기간 연장을 결정한 재판부에 반발하며 사임한 바 있다.

박 전 대통령은 유 변호사를 비롯한 사선 변호인단이 모두 사임하자 사실상 ‘재판 보이콧’을 선언하고 이후 본인 재판에 단 한 차례도 나오지 않았다. 재판부가 새로 선정한 국선변호인단의 접견 신청도 모두 거부했다.

이 때문에 박 전 대통령이 특활비 상납 사건에서도 사선 변호인을 선임하지 않을 것이라는 예측이 있었지만, 유 변호사를 다시 선임함에 따라 이 사건 재판에는 출석할 가능성이 조심스레 점쳐진다.

기존 국정농단 사건은 ‘정치 보복 수사’라는 프레임으로 대응해 어떤 결론이 나와도 ‘국정수행의 일환으로 한 일’이라며 불복하겠다는 입장을 드러내는 한편 추가된 특활비 뇌물의 경우 이와 다소 결이 달라 ‘개인적인 유용’ 성격이 더 짙은 만큼 더 이상의 ‘추가 유죄’는 막아보겠다는 절박감 내지 ‘투트랙’ 재판 전략의 일환 아니냐는 분석이 제기된다. 한편 박 대통령은 변호인 선임 비용을 사비로 부담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변화사로 재 선임된 유영하 변호사는 어떤 인물일까.

1962년 10월 19일생으로 부산 서면 출신인 유영하 변호사는 연세대 행정학과를 나와 1992년 사법시험(34회)을 통과한 후 1995년 사법연수원(24기)을 수료 후 검사생활을 시작했다. 이후 창원지검, 인천지검, 서울지검 북부지청을 거쳤다.

2004년 당시 한나라당 대표였던 박 대통령과 인연을 맺은 것으로 알려진 유 변호사는 17대 총선에서 한나라당 후보로 경기도 군포에 출마했지만 열린우리당 김부겸 의원에게 패한다. 이어 18·19대도 같은 지역에 출마했지만 잇따라 고배를 마셨다. 지난 4·13총선 때는 서울 송파을에 단수 추천을 받았지만 새누리당 김무성 전 대표의 이른바 ‘옥새 파동’으로 이곳이 무공천 지역이 되면서 출마 기회를 놓쳤다.

그는 정치권에서 ‘친박중의 친박’, ‘진박중의 진박’으로 불릴만큼 박 대통령을 지근거리에서 보좌한 최측근으로 알려져 있다. 법조계에서는 유 변호사에 대해 ‘박 대통령의 호위무사’로 칭할 만큼, 10년 넘게 박 대통령의 방패 역할을 해 왔다.

2004년 박근혜 한나라당 대표가 유 변호사를 전략기획위원회 부위원장으로 발탁한 이후 2007년 한나라당 대선후보 경선 당시 박 후보 캠프에 입성해 법률지원단장을 지냈다.

유 변호사는 인천지검 특수부 검사 시절 K나이트클럽 사장에게 향응을 제공 받아 징계를 받고 검사를 사임했다. 또 지난해 국가인권위원회 상임위원으로 활동할 당시 국정감사 회피성 출장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