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 위암 예방 가능
[헤럴드경제(성남)=박정규 기자]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김나영, 황영재 교수 연구팀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치료를 통해 위암을 예방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김나영 교수 연구팀은 지난 2006년 2월부터 2015년 7월까지 분당서울대병원에서 상복부 불쾌감, 메스꺼움, 구토 등의 소화기계 증상을 보이거나 위암 정기 검진을 받은 598명의 환자(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음성군 65명,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 양성에서 제균 된 군 442명, 제균 되지 않은 군 91명)를 대상으로, 위축성위염과 장상피화생의 변화를 최대 10년 동안 전향적으로 추적 관찰했다.

1년, 2년, 3∼4년, 5∼10년 추적기간에 따라 위 전정부(위 아랫부분)와 체부(위 윗부분)에서 조직검사를 시행한 결과, 위축성위염은 물론 장상피화생도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에 의해 호전된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사진=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김나영 교수]

위축성위염은 제균 후 1년 이내에 체부는 물론 전정부에서 많은 호전을 보여 헬리코박터 음성군과 의미 있는 차이가 없어졌다. 장상피화생은 위축성위염에 비해 다소 시간이 걸렸지만 제균 후 체부는 3년 후에, 전정부는 5년 후부터 헬리코박터 음성군과 차이가 없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헬리코박터 제균치료로 위축성위염은 체부에서 68.6%, 전정부에서 50%가 완전히 없어졌다. 장상피화생은 체부에서 44.4%, 전정부에서 33.9%가 사라졌다. 이는 제균 치료로 위축성위염뿐만 아니라 장상피화생도 호전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위암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근거가 된다고 설명했다.

김나영 교수는 “제균 치료 후 장상피화생이 호전되기까지는 위축성위염에 비해 다소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젊은 나이일수록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를 통해 조금 더 효과적인 위암 예방 결과에 이를 수 있다”고 했다.

김 교수는 “위암은 초기에 발견하면 완치가 가능한 질환인 만큼, 위암을 조기 진단하여 치료하고,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로 위암을 예방하는 적극적인 보건 정책이 뒷받침 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AP&T(Alimentary Pharmacology&Therapeutics)’ 최근호에 게재된다.

fob140@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