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서울 최고 랜드마크 용산정비창 전면1구역 ‘순풍의 돛’
‘용산국제업무지구’사업 핵심지

주민들 끈질긴 노력 도계위 통과
주민 순부담률 25%→21%로 낮춰
면적은 30만㎡→35만여㎡로 늘어


지난 22일 찾은 서울 용산구 한강로3가 40-641번지 일대. 다섯 뼘도 안 될 골목길을 따라 들어가니 도심 한복판이라는 게 의구심이 들 만큼 낡은 주택들이 이어졌다. 엉킨 전선줄과 울퉁불퉁한 보도블록은 주변을 더 산만하게 했다. 지하철 용산역과 지하 3층, 지상 9층 규모 상가 아이파크몰이 한 눈에 보여 더욱 외딴 섬처럼 느껴졌다. 이곳에서 40여년을 살았다는 한 주민은 “1960년대 이후 바뀐 게 없다고 보면 된다”고 했다.

시간이 멈춘 것 같은 이곳은 ‘용산정비창 전면 1구역’이다. 서울시와 지역주민 간의 의견차이로 10여년간 개발 첫 발도 못 딛은 곳이었다. 하지만 주민들의 끈질긴 노력으로 서울시가 ‘방향 전환’을 한 결과 개발은 이제 순풍 탈 일만 남았다.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는 지난 20일 본회의를 열고 용산정비창 전면 1구역 도시환경정비계획수립ㆍ구역지정(안)을 심의ㆍ의결했다. 

서울 용산구 한강로3가 일대 ‘용산 정비창 전면 1구역’ 현재 모습.

용산 정비창 전면 1구역은 단군 이래 최대 부동산 개발이라고 불릴 만큼 규모가 큰 ‘용산국제업무지구’ 사업의 핵심지다. 이에 따라 1구역은 당초 낡은 주거지를 새롭게 일구자는 내용으로 지난 2004년부터 개발이 거론돼 왔다.

이번 심의 통과로 용산정비창 전면 1구역은 준주거지역과 상업지역으로 우수디자인시 최고 120m 높이 39층 주상복합건물까지 지을수 있게 된다.

1차 공람안 대비 건축계획 전체면적은 35만6486㎡이다. 27만524㎡에서 31.7%(7만7962㎡) 늘어난 규모다. 3.3㎡ 당 2000만원(분양 시)으로 가정하면 약 4000억원 가량의 추가 수익을 올리게 된 것이라고 위원회는 설명했다.

사실 얼마전만 해도 용산정비창 전면 1구역 개발은 전면 재검토 가능성도 거론될 만큼 한 치 앞을 보기 힘들었다. 용도와 순부담율(기부체납비율)에 따른 시와 주민들 간 입장 차이 때문이다. 시와 용산구는 당초에는 지금과 달리 구역을 제2ㆍ3종 일반주거지역과 일반상업지역으로 두고 순부담율도 25%로 정해 일대 공공용지와 기반시설을 확보할 방침을 세워뒀다.

그렇게 되면 건축계획 전체면적은 애초 30만㎡을 넘는 게 불가능할 전망이었다. 또, 개발 관련 주민의견 청취과정에서 주민공람 의견 미제출자를 개발 반대 의견으로 보고 제동을 걸기도 했다.

이런 난관을 넘고 이번 심의 통과를 이룬 데는 ‘정비창전면1구역 도시환경정비사업 조합설립추진준비위원회’로 모인 주민들의 노력이 컸다는 평가가 나온다.

차무철 추진준비위원장은 용도상향과 순부담률을 낮추기 위해 주민들과 함께 시와 구로 꾸준히 민원을 제기하고 의견을 제시했다. 차 위원장은 “낙후된 단독주택 용지를 주민들을 위한 새 공간으로 일구기 위해서는 고층 주상복합타운이 빠른 시일내에 들어서야 했고, 이에 따라 구역은 준주거지역과 상업지역이 돼야한다는 점을 지속 설득했다”며 “이후 순부담률도 용도 지역 변화에 맞게 낮춰 주민 부담을 줄여줘야한다고 강조했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주민들이 힘 모아 수년 간 우편, 방문, 집회 등을 통해 목소리를 전달한 끝에 순부담률(기부채납)은 25%에서 21.4% 낮췄으며, 용적률은 518.06%에서 532.76%로 올릴 수 있었다는 게 차 위원장의 설명이다.

위원회는 주민 의견을 명확히 듣기 위해 설문조사 양식도 다시 제작했다. 이후 일대 주민 80%에 달하는 300여명을 모아 설문을 진행하고 개발 지지로 90% 이상의 동의를 얻어 정확한 데이터를 확보했다. 한 추진준비위원회 회원은 “높은 지지도가 증명된 게 이번 성과를 내는 데 큰 동력으로 작용했을 것”이라고 했다.

차 위원장은 “드디어 개발이 출발선에 올랐지만 아직도 해야 할 일이 많다”며 “일대를 명품단지로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원율 기자/yu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