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특허강국 대한민국, 인구 대비 특허출원건수 세계1위ㆍ특허출원 건수는 세계 4위
[헤럴드경제(대전)=이권형 기자] 특허청은 세계지식재산권기구(WIPO)가 발간한 ‘세계지식재산지표(World Intellectual Property Indicator) 2017’에 따르면 GDP 및 인구 대비 특허출원건수에서 우리나라가 2016년에도 1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6일 밝혔다.

‘세계지식재산지표 2017’ 은 WIPO 회원국의 특허, 상표, 디자인 등 지식재산권에 관한 2016년 각종 통계수치와 변화추이를 수록한 통계보고서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2016년 전세계 특허출원은 처음으로 300만건을 넘어선 312만8000건으로 2015년(288만9000건)에 비해 8.3% 증가했고 나라별로는 중국이 1위(134만건)를 차지하고 있으며, 미국(60만6000건), 일본(31만8000건), 우리나라(20만9000건)가 그 뒤를 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GDP 대비 출원건수와 인구 대비 출원건수에서는 미국ㆍ일본ㆍ독일 등 주요 선진국을 크게 앞선 1위를 유지하고 있어, 우리나라가 특허출원 강국임을 보여주고 있다.

상표출원건수는 중국이 압도적인 1위(369만 8000건)를 보인 가운데 한국은 2015년에 비해 한 단계 낮은 8위(23만 2000건)를 차지했으며 디자인출원건수는 중국(65만건), 유럽지식재산청(EUIPO, 10만 5000건)에 이어 우리나라가 3위(6만 9000건)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GDP 대비 출원건수와 인구 대비 출원건수에서는 상표는 3위, 디자인은 1위를 차지해 두 분야에서도 출원강국의 위상을 보였다.

한편, 이번 보고서에서는 특별히 각 국의 특허심사 동향 및 연도별 변화추이에 대한 분석자료를 수록하고 있는 점이 눈에 띈다.

자료에 따르면 한국은 최근 10년간 특허출원건수가 심사관수 보다 빠르게 증가해 특허심사관 1인당 심사대기건수도 계속 증가추세를 보인 반면, 심사처리기간은 과거에 비해 오히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나, 이 기간 동안 특허심사관의 업무강도가 높아졌을 것으로 짐작케 했다.

특히, 특허심사관 1인당 특허출원건수는 미국, 유럽, 일본 등 주요국가와 현격하게 큰 격차를 보이며 1위를 차지하고 있고 그 격차도 갈수록 벌어지고 있어 특허 심사관 증원 등의 조치가 필요할 것으로 분석됐다.

kwonh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