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北 인공위성은 정찰 목적이라는데…
中·러 정보공유 차단 이유 분석
ICBM 기술 직접 치환은 힘들어


내년 2월 평창동계올림픽 개최를 앞두고 북한의 인공위성 발사 움직임이 포착되면서 우리 정부와 군 당국이 이를 주시하고 있다.

최근 들어 북한은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을 통해 ‘평화적 우주 개발은 주권국가의 합법적 권리’라고 주장하며 위성 시험발사의 명분을 쌓고 있다는 분석이다. 북한이 인공위성 발사를 통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을 추진한다는 계획에 대해 일부 전문가들은 양쪽 기술이 흡사한 부분이 많지만 바로 치환되는 영역은 아니라고 지적했다.

26일 군 관계자 등에 따르면 북한이 시일 내 장거리로켓을 이용한 인공위성 발사를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인공위성 발사에 사용되는 장거리로켓은 ICBM에서도 유사하게 사용되기 때문에 일각에서는 북한이 인공위성 시험 발사를 가장해 ICBM 대기권 재진입 기술 확인용 실험을 감행하는 게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군 당국은 이에 대해 “확인되지 않은 정보에 대해선 언급할 사안이 없다”고 말했지만, 이런 움직임에 주목하고 있음은 숨기지 않았다.

북한의 이번 인공위성 발사계획은 카메라와 통신장비를 갖춘 정찰위성을 발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들은 북한의 인공위성에 대해 적도 인근에서 지구의 자전속도와 동일하게 움직이는 정지궤도 위성이 아닌 남북궤도 위성일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 북위 40도에 가까운 북한 동창리에서 인공위성을 발사해 적도 인근까지 이동하려면 막대한 추진력 손실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장영근 한국항공대 교수는 “정지궤도 위성은 적도로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북한 동창리에서 정지궤도 발사체를 쏘는 건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며 “기술적 입장에서 분석하면 ‘백두산’ 트윈 엔진을 기준으로 2~3쌍을 이용해 500kg 이상의 남북궤도 정찰위성일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정찰위성을 시급히 확보하고자 하는 북한의 이같은 움직임은 고강도 대북제재에 따른 것으로 추정된다. 북핵 위기가 고조되면서 러시아와 중국 등 우방국에서도 대북제재 수위를 높여 정보 공유가 차단된 탓이다. 북한은 그동안 러시아와 중국 등에서 운용하는 정지궤도 위성을 통해 미국 등에 대한 군사정보 등을 공유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북한의 인공위성 발사가 ICBM 대기권 재진입 기술 점검 활용을 위한 기만전술일 가능성이 높지 않은 것으로 분석된다. 장 교수는 “인공위성과 ICBM은 2개의 기술이 상호교환은 가능하지만 똑같은 건 아니다”라며 “양쪽 모두 1단 엔진은 동일하게 사용하지만 2단 엔진부터는 추진력과 졍확도가 다르다”고 말했다. 이어 “위성 추진체의 2,3단 엔진은 더 강력하고 정밀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정주 기자/sagamor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