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미숙아ㆍ저체중아 치료시설, 병상 늘었지만 의료진은 부족
[헤럴드경제=유재훈 기자] 보건당국이 고위험 신생아가 증가에 따라 신생아집중치료시설을 대폭 확충했지만, 정작 시설에선 인력부족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체중아는 태어날 때 체중이 2.5㎏ 미만인 신생아를 의미한다.

22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남인순 의원이 보건복지부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받은 ‘신생아집중치료지역센터의 운영 성과 평가에 관한 연구’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8월 현재 국내에서 실제로 신생아중환자실을 운영하는 병원은 89곳이고, 운영 병상은 총1716개였다. 병상수는 2011년 1299개에서 417개 늘어난 수치다.


복지부는 미숙아와 저체중아의 증가로 신생아 중환자실에 대한 지원사업을 2008년부터 2015년까지 벌여 서울을 제외한 전국의 42개 의료기관, 380병상에 시설ㆍ장비비 495억원, 운영비 134억원 등 총 629억원을 지원해 인프라를 확충했다.

이런 노력 등으로 신생아 사망률은 출생아 1000명당 2007년 2.1명에서 2015년 1.7명으로, 영아사망률도 같은 기간 3.6명에서 2.7명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출생 체중 1.5㎏ 미만 미숙아 생존율은 83.2%에서 87.9%로, 1㎏ 미만 미숙아는 62.7%에서 72.8%로 각각 높아졌다.

하지만 서울대병원 연구팀이 신생아중환자실의 담당 의료진을 상대로 병상수와 인력, 장비, 설비, 특수치료 여부, 협진 현황 등을 설문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2011년과 비교해 의료인력과 장비의 절대 수는 늘었지만, 증가한 병상 수에 비례해 합당한 인력과 장비는 보충되지 못했다.

특히 병상당 인력수는 의사, 간호사 모두 지원 대상 기관으로 선정되기 전보다 오히려 줄어들었다.

연구팀은 “신생아집중치료는 고도의 전문성이 필요하고 노동집약적인 업무이지만, 증가한 병상수만큼의 인력이 충원되지 않아 기존 인력이 업무 과중으로 이탈할 것으로 우려된다”면서 신생아집중치료 전문인력의 인건비를 직접 지원하거나 치료 수가를 개선하는 등의 방법으로 병원이 신규인력을 확보할 수 있게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2016년 통계청 자료를 보면, 1993년 총 출생아 71만5826명 중에서 저체중아는 1만8532명(2.6%)이었지만, 2015년에는 총 출생아 43만8420명 중에서 2만5183명(5.3%)으로 꾸준히 늘고 있다.

igiza77@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