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외무상, 공식초청장 받고
유엔 장관회의에 2차관 파견
19~20일 셔틀외교 본격화 논의
외교장관회담 역사문제 꺼낼듯
역사문제 등으로 한일관계에 이상기류가 감지되고 있는 가운데,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중국에서 돌아온 지 사흘 만인 19일 일본으로 떠난다. 문재인 정부의 대(對)일 외교전략은 역사문제와 안보ㆍ경제협력을 따로 두고 접근한다는 투트랙 접근을 택하고 있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다.
18일 외교부에 따르면 강 장관과 고노 다로(河野太郞) 일본 외무상은 19일부터 이틀간 한일 역사문제와 안보현안뿐만 아니라 한일 정상이 수시로 양국을 오가며 정상회담을 개최하는 ‘셔틀 외교’의 본격화에 대해 의견을 교환할 예정이다. 일본에서 개최될 한중일 3국 정상회의와 내년 2월 평창 동계올림픽때 아베신조 총리의 방한 문제도 논의할 전망이다. 강 장관의 일본 방문은 취임 후 이번이 처음으로, 한국 외교부장관의 일본 방문은 2015년 6월 당시 윤병세 장관 이후 약 2년6개월 만이다.
하지만, 외교장관 회담을 앞둔 한일관계엔 이상기류가 감돌고 있다. 강 장관은 지난 15일(현지시간) 열린 유엔 안보리 장관급 특별회의가 개최되기 고노 외무상으로부터 공식초청장을 받았지만, 문재인 대통령의 방중(訪中) 수행을 위해 조현 외교부 2차관은 대신 파견한 바 있다. 당시 조 차관의 대리참석에 외교가에서는 북핵 관련 안보리 회의에 북한 비핵화 공조를 유지해온 한미일 3개국 중 직접 당사국인 한국 외교장관만 빠진 건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당시 고노 외무상은 북핵ㆍ미사일 대응을 위한 한미일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강 장관의 참석을 적극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유엔 안보리 장관급 특별회의에는 렉스 틸러슨 미 국무장관도 회의에 참석해 특별연설을 했다. 자성남 유엔주재 북한대사도 참석해 핵보유국 지위 인정을 요구하며 미국과 설전을 벌이기도 했다.
이와 함께 일본은 지난달 북한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급 ‘화성-15형’을 발사했을 당시 한일 국방장관 전화회담이 이뤄지지 않은 점에 대해서도 불쾌감을 드러내고 있다. 아사히 신문은 지난 16일 한일관계 소식통을 인용해 일본 정부가 오노데라 이쓰노리((小野寺五典) 방위상과 송영무 국방장관의 전화회담을 요청했지만, 한국 측이 일정을 이유로 적극 대응하지 않아 무산됐다고 보도했다. 군 당국은 “사실이 아니다”며 “한미일 차관보급 화상회의를 통해 충분히 정보교환이 이뤄졌다고 판단해 이번에는 전화통화를 실시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같은 보도는 문재인 정부의 행보를 불편하게 바라보는 일부 일본인들의 시각을 투영하고 있다. 일본매체들은 중국을 인식한 우리 정부가 소극적인 자세를 보이고 있다고 지적해왔다.
문 대통령의 방중기간 내내 드러난 일본과의 ‘거리두기 행보’도 한일관계에 미묘한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문 대통령은 난징(南京)대학살을 방중기간 3차례 언급하며 일본에 맞선 중국과 한국의 오랜 동지적 동질감을 강조했다. 하지만 정작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 주석은 3년 만에 난징대학살 추도식에 참석하고도 연설을 삼갔다. 시 주석이 국가의 중요행사에 참석해놓고 연설을 하지 않는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이를 놓고 전문가들은 시 주석이 아베 신조(安倍 晋三)일본 총리와의 정상회담 시기를 조율하고 있는 과정에서 중일관계를 배려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한일관계 개선의 가장 중요한 숙제인 일본의 역사의식 개선 또한 어려운 상황이다. 더구나 28일 한일 양국이 일본군 위안부 합의를 발표한 지 2년이 되기 때문에 강 장관과 고노 외무상의 한일 외교장관 회담에서 위안부 및 역사문제는 빠질 수 없는 중요 의제가 될 전망이다. 한편, 정부는 한일 위안부 합의 태스크포스(TF)의 검증결과를 이달 중으로 발표하고, 이에 따른 정부의 후속조치는 내년 2월로 미루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문재연 기자/munja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