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美 금리인상ㆍ감세에 亞 신흥국 자본유출 ‘공포’
[헤럴드경제=이혜미 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ㆍ연준)의 기준금리 인상과 미 공화당 상ㆍ하원 지도부의 법인세 인하폭 합의 소식에 아시아 신흥국들 사이에서 긴장감이 커지고 있다고 14일 일본 니혼게이자이신문이 보도했다.

홍콩 중앙은행격인 금융관리국은 이날 미국 금리인상에 연동해 은행 대출 기준금리를 0.25% 포인트 올린 1.75 %로 확정했다. 

노먼 찬 홍콩 금융관리국 총재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미 감세안 도출 이후) 미국 기업이 본국으로 자금을 회수하려 하고 있다”며 “신흥시장의 자금 공급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금리인상 배경을 설명했다. 

미 공화당 세제개혁안은 해외에 진출한 미국 기업의 자금 유입을 위해 이들 기업에 감세 혜택을 제공할 방침이다. 

재닛 옐런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장이 13일(현지시간) 워싱턴DC에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가 끝난 뒤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AP연합]

중국 인민은행도 이날 미국의 금리인상을 반영해 시중은행에 1년짜리 자금을 빌려주는 중기유동성지원창구(MLF) 금리를 0.05%포인트 오른 3.25%로 상향했다. 역레포(역환매조건부채권) 7일물과 28일물의 금리도 0.05%포인트씩 올려 각각 2.5%, 2.8%로 정했다.

인민은행은 성명에서 “시장 금리가 운영 금리를 현저하게 웃돌고 있어 차이를 줄일 필요가 있었다”며 자금 수급을 반영한 조치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시장 관계자들 사이에선 달러 강세 및 위안화 약세의 급격한 진행을 우려해 해외자금 유출을 막기위한 의도가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동남아시아 등에서도 금리인상이 확산될 조짐이다.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의 11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50.8로 경기 판단의 기준선인 50을 4개월 연속 웃돌았다. PMI면 50 이상이면 경기 확장을, 미만이면 위축을 나타낸다. 수출 호조가 경기를 견인하고 있지만 유가 상승과 자국 통화 약세로 원자재 비용이 상승하는 조짐이 관측된다고 닛케이는 지적했다.

이처럼 미국 금리 인상으로 달러 강세 및 자국 통화 약세가 우려되면서 인플레이션(물가상승) 압력을 억제하려 정책 금리를 인상하는 국가들이 늘고 있다는 분석이다. 골드만삭스 앤드류 틸턴 아태지역 담당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미국 금리 인상에 따라 인도,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의 중앙은행이 내년에 금리 인상을 단행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ha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