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말많은 ‘제주 2공항’ 주민의견 수용 재조사 ‘이례적’
[헤럴드경제=이슈섹션] 정부가 주민과 환경단체들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는 ‘제주 제2공항’건설에 대해 사업지 선정 타당성을 재조사하기로 했다. 정부가 사회간접자본(SOC)사업을 추진하면서 주민의 요구를 수용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국토교통부는 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일부 주민들이 제주 제2공항 예정 지역의 안개일수 통계오류, 오름 훼손 가능성 등의 주장하고 있다”며 “절차적 정당성 확보와 투명한 갈등 관리를 위해 지역 주민들의 사업지 선정 타당성 재조사 요구를 수용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사진=연합뉴스]

내년 2월에 조사에 들어가서 6월에는 최종 결과가 나올 것으로 정부는 보고 있습니다.

정부는 2015년 11월 제주 서귀포시 성산읍 일대 496만m² 땅에 ‘제2공항’을 짓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현 제주공항의 수용능력 한계로 인한 안전 위험이 높아지면서 신설된 방안이었다. 국토부는 ‘성산지역 제주 제2공항 건설방안’을 발표하고 당초 2019년까지 실시설계를 마치고 2020년 착공, 2025년 개항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지역주민과 환경단체들은 거세게 반발에 부딪혀 왔다. 특히 평가기준은 공개됐지만 최적입지 선정 등 중간과정이 비공개로 진행되며 용역에 대한 각종 의혹과 의문이 제기됐다.

정부는 내년 6월까지 5000만원을 투입해 입지선정과 환경영향평가 등에 문제가 있었는지 타당성 재조사를 통해 의혹부터 해소하겠다는 입장이다. 이 과정에서 과학적인 오류가 발견되면 공항 건설계획 자체가 원점에서 재검토된다.
국토부는 “당초 예정된 기본계획 수립 용역과 타당성 재조사를 동시에 진행해 2025년 완공계획에 차질이 없게 사업을 추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