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서울시, 2025년 안에 ‘전기차 10만대 시대’ 연다
-‘전기차가 편리한 도시, 서울’ 사업안 발표
-서울형 충전소 등 충전시설 확대에도 집중

[헤럴드경제=이원율 기자] 서울시가 오는 2025년 안에 전기차 등 친환경차량 10만대 공급에 나선다.

시는 1일 이 같은 내용의 ‘2025 전기차가 편리한 도시, 서울’ 사업안을 발표했다.

이는 지난 9월 24일 내놓은 ‘서울 전기차 시대 공동선언’ 후속 조치로, 서울을 충전 불안 없이 편리하게 전기차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으로 만들겠다는 실천전략이다.

전기차로 운영되고 있는 서울 ‘전기택시’. [사진제공=서울시]

시는 우선 전기차가 쉽게 찾을 수 있는 ‘무장애 서울형 충전소’를 집중 설치할 계획이다.

서울 5대권역별로 2개소 이상 둔다. 24시간 운영되는 공간으로, 충전기기는 5~10대를 들인다. 올해 도심권에 2개소, 다음 해 4개 권역 4개소, 2019년에 4개소를 설치하는 등 점차 늘려갈 예정이다.

주유소와 차고지, 자치구청사와 대형주차장에도 급속충전기를 설치한다.

충전 대기시간을 줄이면서 시내 어디서든 충전할 수 있는 생태계를 만들기 위해서다. 매년 60개소씩 늘려 오는 2025년 안에 500개소 이상 확보한다.

시 관계자는 “이를 통해 시내 1500기 이상 충전기가 확보되면 전기차 이용 불편이 크게 줄 것”이라고 설명했다.

시는 오는 2025년 전기차 10만대 공급은 현재 5500대 수준인 전기차를 2022년 5만대로 늘리는 등 점진적으로 확보하는 방식으로 실현할 방침이다. 여기에는 관용차량 4800대를 모두 전기차로 바꾸는 등 시부터 솔선수범한다.

민간 전기차 전환을 위한 보조금 지원도 지속한다. 현재 시비 추가 보조금은 정부 보조금의 약 40% 수준인 550만원이다. 다만 정부의 보조금 정책에 맞춰 보조금 지원 비율은 점차 축소할 예정이다.

시는 제도 손질에도 나선다.

전기차 전용주차구역에 일반자동차를 주차해 충전을 방해할 시의 단속 근거를 마련하고 공공기관에서만 적용되는 전기차 의무 구매를 일정 규모 이상 민간기업에 적용 등 방안도 검토할 계획이다.

황보연 시 기후환경본부장은 “전기차가 편리한 도시를 만드는 일은 대기질 개선과 시민 건강 보호를 위한 최우선 과제”라며 “앞으로 전기차 구매 시 걸림돌로 작용하는 충전 불안을 해소하는 데 초점을 맞추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시민, 기업, 기관에서도 차량을 바꾸실 때 배출가스가 전혀 없어 미래 세대에 깨끗한 환경을 물려줄 수 있는 전기차를 우선 고려해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yu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