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서울시민 하루 30만명 죽는다는데…北 장사정포 잡는 ‘킬체인’ 2023년이후에나
- ‘전술지대지유도탄‘ 전력화 4년 연기
- 당초 2019년에서 2023년후로


[헤럴드경제=이정주 기자] 북한이 서울 등 수도권을 향해 포 공격을 할 경우 하루 사상자가 30만명에 달할 것이란 보고서가 나온 가운데, 우리 군이 북한의 장사정포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4456억 원을 들여 개발 중인 ‘전술지대지유도탄’(KTSSM)의 전력화 완료 시점이 당초 오는 2019년에서 2023년으로 4년이나 늦춰진 것으로 확인됐다.

25일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자유한국당 김학용 의원이 방위사업청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술지대지유도무기 양산을 위한 미 군용 위치정보시스템(GPS) 300여 개에 대한 미국 측의 구매 승인이 아직 떨어지지 않았다.

[사진=헤럴드DB]

전술지대지유도탄 사업은 GPS 유도 기술을 통해 북한의 장사정포를 선제 타격하는 ‘킬체인’의 핵심 전력이다.

최장 사거리 120㎞로, 지하 콘크리트 방호벽을 관통할 수 있어 ‘한국판 벙커버스터’로 불린다.

앞서 우리 군은 2016년까지 국방과학연구소(ADD) 주관으로 무기체계 개발을 마친 후 2019년까지 미 군용 GPS를 탑재한 유도탄 전력화를 완료할 계획이라고 2013년 밝힌 바 있다.

육군은 지난 19일 국감에서 한반도 내 전면전이 발발하면 개전 초기 이 전술지대지유도탄 등을 동원해 북한 핵과 미사일 시설, 장사정포 진지를 초토화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그러나 실상은 미 군용 GPS 구매 승인이 늦어지면서 사업에 차질이 빚어졌다.

국방부는 이미 올해 마련한 국방중기계획에서 애초 2016∼2019년으로 예정했던 전술지대지유도탄 사업을 2019∼2022년으로 늦춘 것으로 전해졌다.

더구나 이 계획마저도 기획재정부와의 예산 심의 과정에서 내년 설계 예산 4억 원이 전액 삭감되는 바람에 불투명해진 것으로 알려졌다.

결국, 전술지대지유도탄 사업 완료는 중기계획보다도 늦은 2023년 이후에나 가능할 것이라고 김 의원은 주장했다.

김 의원은 “전술지대지유도탄 조기 전력화가 절실한데도 정부의 안일한 사업관리 탓에 4년이나 전력화가 지연됐다”며 “미 당국과 협의가 순탄치 않으리라고 예측됐으나 준비를 소홀히 했다”고 비판했다.

한편, 최근 미국 뉴욕타임스는 미국 민간 연구기관인 노틸러스연구소의 2012년 보고서를 인용해 최근 “북한이 재래식 무기로 한국의 군사 시설을 공격할 경우 몇 시간 내에 3000여명, 민간인을 겨냥하면 3만여명의 사망자가 나올 수 있다”고 보도했다. 또한, 미국 군사 전문가들은 “김정은이 외부의 핵 공격이나 목숨이 위태로워지는 최악의 상황에 직면하지 않는 한 곧바로 핵이나 생화학무기에 의존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다만, 북한이 한국의 서울 등 수도권을 향해 170㎜ 자주포, 240·300㎜ 방사포를 집중 발사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노틸러스연구소는 북한이 서울과 수도권 군사 시설을 향해 포 공격을 할 경우 첫날에만 6만 명의 사망자가 발생하고,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면 사상자는 30만 명에 이를 수 있다고 전망했다.

saga@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