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주미대사 “美 대북압박 목적은 평화적 북핵해결”
-“美, 군사옵션 가기 전 할 수 있는 일 많다고 해”

[헤럴드경제=문재연 기자] 안호영 주미대사는 16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정부의 대북전략에 대해 “제재와 압박의 목적은 결국 북한문제의 평화적 해결”이라고 밝혔다.

안 대사는 이날 워싱턴DC 주미대사관에서 열린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미국의 책임있는 관리들은 모든 옵션이 테이블 위에 있다고 하면서도 군사적 옵션으로 가기 전에 할 수 있는 일이 많이 있다는 것을 일관되고 설득력있게 얘기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안 대사는 “이는 미국 조야의 공통된 의견”이라며 “제임스 매티스 국방장관이든,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이든, 모두 동일한 얘기를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안 대사는 한미 양국이 북핵 해법을 놓고 엇박자 혹은 균열을 보이고 있지 않냐는 유기준 자유한국당 의원의 질문에 “미국은 하나의 단면만으로 한미관계를 평가하지 않는다”며 “한미동맹의 균열은 없다”고 답했다.

또 “긴밀한 한미공조를 바탕으로 강력한 대북압박을 지속해서 강화하겠다”며 “북한을 진정한 비핵화 대화의 테이블로 유도하기 위한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안 대사는 헨리 키신저 전 국무장관의 ‘북한 정권 붕괴와 주한미군 철수’ 등을 포함한 미중 빅딜설에 대해 “미국 사회에서 아이디어로서는 가능할지 모르지만, 실현 가능성에 대해 심각하게 생각하는 사람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한반도 전술핵 재배치 주장에 대해서는 “우리 정부가 (미국에) 전술핵 배치를 검토하자고 한 적은 없다”며 “미 정부는 1991년 글로벌 차원에서 전술핵 배치를 검토했으나 군사적 효용성과 외교적ㆍ정치적 함의 때문에 하지 않기로 정리한 바 있다”며 부정적 입장을 내비쳤다.

안 대사는 ‘전시작전권 전환’ 문제에 대해 “특정 시점이 아니라 조건이 성숙된 다음에 이행한다는 것이 국민을 안심시킬 수 있는 요소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내달 7일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 일정에 대해서는 “백악관에서 한중일 3국에 적절하게 (배정)하도록 준비하고 있다”며 “세부적 방한 일정에 대해 실무적인 검토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munja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