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국당, 이번주 朴 징계할까…보수진영 정계 개편 분수령
-한국당 윤리위, 朴 전 대통령 ‘탈당 권고’할 듯

-바른정당 통합파 ‘탈당 러시’ 시작하나?

-朴 징계 시기, 바른 전당대회 변수

[헤럴드경제=유은수 기자] 보수야당 진영의 정계 개편 움직임이 이번주 최대 분수령을 맞을 전망이다. 자유한국당이 박근혜 전 대통령을 징계하고 바른정당 통합파 의원들이 집단 탈당할 가능성을 두고 물밑 작업이 한창이다.

박근혜 전 대통령이 10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서 재판을 받기 위해 호송차에서 내려 법정으로 향하고 있다. [사진제공=연합뉴스]

한국당 윤리위원회는 오는 17일 또는 18일 회의를 열고 박 전 대통령과 친박(親박근혜)계 핵심 인사들에 대한 징계 수위를 결정할 계획이다. 윤리위는 지난달 13일 혁신위원회의 권고안대로 이들에 대해 ‘자진 탈당’을 권고할 가능성이 크다.

당규 제21조에 따르면 윤리위의 탈당 권유 의결 통지를 받고 열흘 안에 탈당 신고서를 제출하지 않으면 곧바로 제명 처분된다. 다만 친박계 현역 의원인 서청원ㆍ최경환 의원의 경우 출당을 결정하려면 소속 의원 3분의 2의 동의가 필요해 사실상 어렵다. 따라서 이들에 대해선 박 전 대통령과 다른 징계를 내릴 것으로 알려졌다.

바른정당 통합파 의원들은 그동안 박 전 대통령 출당 조치를 포함해 친박계 인적 청산을 보수 통합의 전제 조건으로 제시해왔다. 한국당의 인적 청산 작업이 본격화하는 동안 두 당에서는 ‘보수대통합 추진위원회’ 구성을 착수할 예정이다. 한국당은 김성태ㆍ이철우ㆍ홍문표 의원을 통추위원으로 선정, 발표한 바 있다.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 [사진제공=연합뉴스]

바른정당 통합파 의원들은 오는 16일 최고위원회의에 통추위 구성 문제를 정식 안건으로 올려 공식적으로 통합 논의를 시작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그러나 자강파 의원들이 통추위 구성에 동의할 가능성은 희박하기 때문에 통합파 의원들이 독자적으로 통추위 구성에 착수할 것으로 예상된다.

통추위는 한국당 3명, 바른정당 3명, 외부인사 3명으로 구성되며, 바른정당 통추위원으로는 통합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김영우ㆍ김용태ㆍ황영철ㆍ이종구 의원 등의 이름이 오르내린다.

또 다른 선택지는 바른정당 통합파의 집단 탈당이다. 자강파의 반대로 당 대 당 통합이 무산될 경우, 한국당 윤리위가 박 전 대통령 징계 수위를 결정된 후 바른정당에서 ‘탈당 러시’가 시작될 가능성이 있다. 홍준표 한국당 대표가 오는 23일 미국 방문길에 오르기 전 가시적인 결과를 내려 한다면 두 당의 통합 및 탈당 움직임에 가속도가 붙을 수도 있다.

바른정당 통합파의 구심점 역할을 하는 김무성 의원. [사진=헤럴드경제DB]

다만 바른정당 통합파 의원들 사이에서도 구체적인 통합 방식과 시기에 대한 이견이 존재해 탈당 시점과 규모는 미지수다. 만약 한국당 윤리위의 박 전 대통령 징계 결정이 지연된다면 바른정당 통합파 의원들의 탈당도 늦어지거나 여러 번에 걸쳐 순차적인 탈당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어떤 방식이 되더라도 바른정당 통합파는 전당대회 후보자 등록 시한인 오는 27일 전까지는 결단을 내릴 거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신임 지도부를 선출하는 전당대회 국면이 시작되면 당을 깨고 나오는 데 대한 심적ㆍ정치적 부담이 커지기 때문이다.

15일 현재 바른정당에서 탈당 가능성이 있는 의원은 통합파의 구심점 역할을 하는 김무성 의원을 필두로 9명 안팎이 꼽힌다. 당 대표 권한대행인 주호영 원내대표도 통합파로 알려졌지만, 전당대회 관리 등 당무에 관한 책임이 막중해 선뜻 탈당하기 어려운 위치다. 때문에 주 권한대행이 탈당하더라도 ‘막차’를 타리란 관측이 나온다. 또 자강파와 통합파 의원들이 아직 노선을 정하지 못한 의원들을 대상으로 적극적인 설득 작업을 벌이고 있어 최종적으로 소속 의원 20명 가운데 몇 명이 떠나고 몇 명이 남을지 막판까지 예단하기 어렵다.

ye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