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美 전 국방장관 “대북 선제공격, 3차 대전 초래할 수도”
-부시ㆍ오바마 정부 당시 국방장관 “북한 선제공격은 큰 실수”

[헤럴드경제=문재연 기자] 조지 W. 부시와 버락 오바마 행정부에서 국방장관을 지낸 로버트 게이츠(74)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북 강경발언을 비난하고 나섰다.

게이츠 전 장관은 9일 호주 시드니에서 열린 국제변호사협회(IBA) 콘퍼런스에서 북한에 대한 선제공격은 제3차 세계대전을 부를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게이츠 전 장관은 이날 이뤄진 화상연결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리비아의 무아마르 가다피와 이라크의 사담 후세인의 종말을 목격한 만큼 핵무기를 포기하지도 설득되지도 않을 것이라고 말하며 그렇다고 미국의 대북 선제공격은 역내에 훨씬 광범위한 참상을 부를 수 있으며 3차 대전조차 가능하다고 지적했다. 

[사진=게티이미지]

그는 김정은에게 핵무기 개발과 관련해 너무 멀리 가도록 허용됐다며 북한을 비핵화하라는 미국의 요구는 성공할 가능성이 없다고도 덧붙였다.

게이츠 전 장관은 중국이 적극 중재자로 나설 필요가 있다고도 강조했다. 게이츠는 북한에 탄도미사일 발사 중단과 추가핵실험금지, 핵프로그램 사찰 허용 등 북한에 구체적 요구를 중국의 중재를 통해 하는 대신, 미국이 한동안(some period of time) 북한에 대해 핵무기 5~6기의 제한적 보유를 용인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게이츠 전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의 트위터 활동에도 깊은 우려를 나타냈다. 게이츠는 “북확실한 상황에서 미군 조종사나 함정 선장이 연루된 사건 하나가 훨씬 더 큰 충돌로 이어질 수 있다”며 김정은을 향한 트럼프 대통령의 도발적인 트위터가 위기감을 높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 김 위원장이 미친 사람은 아니라며 자칫 북한의 전멸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반격을 받지 않고 미국이나 일본, 한국을 공격할 수 없다는 것을 스스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게이츠는 지난 7월에도 언론 인터뷰에서 북한의 핵무기 포기가 아닌 동결을 목적으로 미국과 중국이 미리 큰 틀의 거래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게이츠 전 장관은 1990년대 초반 중앙정보국(CIA) 국장을 지냈고, 2006년부터 5 년간 국방장관을 지냈다.

munja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
          연재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