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日 노동소득분배율, 46년만 최저치”
-“기업 수익환경 개선에 비해 임금인상폭 완만한 탓”

[헤럴드경제=이혜미 기자] 일본 경제가 성장세를 이어가는 가운데, ‘노동(소득)분배율’은 46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고 4일 니혼게이자이(닛케이)신문이 전했다. ‘노동분배율’은 기업 이익 중 노동자의 몫을 나타낸다.

보도에 따르면 일본 재무성이 자본금 10억 엔(약 102억6000만 원) 이상 대기업의 4∼6월(2분기) 노동분배율 조사한 결과 43.5%로 나타났다. 이는 고도성장기였던 1971년 1~3월(1분기) 이래 가장 낮은 수준이다. 

자본금 10억엔 미만 중견ㆍ중소기업의 노동분배율은 69.8%로 나타났다. 이 또한 1992년 7∼9월 이래 가장 낮은 수준이라고 닛케이는 지적했다. 

[사진=게티이미지]

노동인력 부족이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면서 일본에서는 기업들이 임금 인상 폭을 늘리는 등 인재 이탈을 막기 위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 대기업은 올 4∼6월 인건비를 전년대비 1.7% 늘렸다. 대기업의 인건비 증가율은 1991년 10∼12월 이래 가장 높은 수준이다. 중견ㆍ중소기업은 0.1%로 저조한 편이었지만 2014년 7∼9월 이래 플러스가 계속되고 있다.

이처럼 인건비는 꾸준히 늘고 있지만, 기업의 수익 증가폭에 비해 임금상승 폭이 작아 노동분배율이 저조하게 나타났다는 분석이다. 닛케이는 “기업들의 수익환경 개선과 비교했을 때 임금인상 페이스는 완만한 편”이라고 지적했다. 올해 4∼6월 경상이익은 통계가 남아있는 1954년 이후 분기별로는 최고치를 기록했다. 일본 기업의 내부유보 또한 2016년도 기준 400조 엔(약 4105조 원)을 돌파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ha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