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머리카락만으로 범인얼굴 식별”
분자생물학자 카이저 교수 주장
“증언보다 DNA분석 몽타주가 정확”


1980~90년대 세상을 떠들썩하게 했던 화성 연쇄살인사건은 대규모 DNA 대조 조사에도 불구하고 범인을 찾지 못한 채 2006년 공소시효 만료로 영구미제 사건이 됐다.

그러나 최근 DNA만으로 범인의 얼굴까지 추정할 수 있는 과학기술 연구가 속도를 내면서 법의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네덜란드 에라스무스대 분자생물학과 만프레드 카이저(Manfred Kayser·사진) 교수는 2005년부터 사람의 외모를 결정하는 유전자 정보를 발견하기 위해 관련 연구에 몰두해왔다. 그 결과 사람의 피부색은 물론 눈동자 색깔, 머리카락 색깔을 결정하는 DNA를 발견하는 데까지 이르렀다. 눈과 눈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는 DNA 역시 최근 그의 연구로 발견됐다.


29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에서 만난 카이저 교수는 이같은 기술을 바탕으로 미제사건 해결에 자신감을 내비쳤다. 그는 “목격자의 기억은 왜곡될 수 있기 때문에 DNA 분석으로 작성된 범인의 몽타주가 목격자의 증언보다 더 정확하다”고 강조했다.

카이저 교수의 연구 성과가 일선 수사에 도입될 경우 목격자나 CCTV가 없어 미궁에 빠진 강력사건 해결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말 그대로 ‘얼굴 없는 범인’의 민낯이 드러나는 셈이다.

네덜란드에선 이미 2003년부터 수사기관이 용의자의 외모 추정을 위해 유전자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허가하는 법안이 제정돼 시행 중이다. 독일과 스위스도 입법을 논의 중이다.

카이저 교수는 “네덜란드의 경우 당시 미제 살인사건이 많았다. 특히 미성년자 살인사건이 수년 동안 미제였던 점이 입법을 서두르는 데 영향을 줬다”고 설명했다.

피부색이 다양한 인종이 모여 사는 유럽의 경우 그의 연구는 수사에서 더욱 빛을 발할 것으로 전망된다. 카이저 교수는 외모상으로 큰 차이가 없는 한국에서도 그에 맞는 과학수사가 가능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앞으로 연구를 통해 탈모 상태나 머리카락의 타입(곱슬 혹은 직모), 얼굴형까지 구분할 수 있게 되면 한국 현실에 맞는 수사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카이저 교수는 오랜 숙원으로 남았던 장기 미제사건 해결도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DNA 분석으로 만든 몽타주에 현재 예상되는 용의자의 나이만 대입한다면 오차가 크지 않은 몽타주를 완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했다. 관건은 예산이다. 그는 완벽한 몽타주를 완성하기 위해선 충분한 예산과 연구에 응할 지원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카이저 교수는 “예산이 확보돼야 지원자를 불러 모을 수 있고, 지원자가 많을수록 연구도 빠를 것”이라며 “충분히 실현시킬 수 있는 기술도 있고, 통계학적인 역량도 충분하다. 관심이 있다면 투자를 해달라”고 말하며 인터뷰를 마무리했다.

김현일 기자/joz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