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北 단거리 발사체 도발] 사드 무력화? 신형 실험?…北 미사일 진짜 속내는?
요격 피해 주요시설 타격 부각
사거리 늘린 단거리 탄도 위협

북한이 지난 26일 발사한 단거리 발사체의 목적과 속내가 여전히 미스터리다. 북한이 저강도 도발을 선택했다는 평가가 우세하지만, 북한이 꺼낸 ‘진짜 경고’ 카드는 단순히 저강도만으로 치부할 수 없다는 분석도 적지 않다. 사드(THAADㆍ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요격을 피하기 위한 신형 무기, 최대 사거리를 강화한 신형 방사포, 미국 등이 아닌 대남 전략용 무기 등이란 해석이 나온다.

북한이 지난 26일 발사한 단거리 발사체는 고도 50여km로 250여km 비행했다. 비행 고도로만 보면 300mm 신형 방사포와 유사하나 군이 파악하고 있는 북한의 신형 방사포 최대 사거리보다 50여km를 더 비행한 데에 따라 혼선이 일고 있다. 탄도 미사일이 통상 250여km를 비행하려면 비행 고도가 80여km가 돼야 하는데 고도로만 보자면 300mm 신형 방사포의 궤적과 유사하기 때문이다. 현재까지도 명확한 결론이 나지 않은 채 해석이 분분하다. 발사체의 정체뿐 아니라 북한의 경고가 무엇인지를 두고서다.

우선 이번 도발이 사드 방어망을 피하면서 한국 내 주요 시설을 타격할 수 있다는 점을 홍보하려 했다는 분석이 있다. 사드 추가 배치가 초읽기에 들어간 상황에서 사드 요격이 어려운 발사체의 형태로 도발을 강행하며 사드의 비효율성을 부각시키려 했다는 분석이다. 북한은 소형 이동식발사차량을 이용, 동시다발적으로 방사포 등을 쏘게 된다. 이럴 경우 사드 요격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신형 무기를 알리려 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한반도 유사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등은 사실상 한국과 무관하다. 오히려 방사포나 단거리 탄도 미사일이 더 위협적이다. 300mm 방사포나 단거리탄도미사일에 한국이 더 촉각을 세워야 하는 이유다.

현재까지 군이 파악한 북한의 300mm 방사포는 최대 사거리를 200km로 평가해왔다. 만약 이번 발사체가 방사포로 결론난다면, 북한의 이번 도발은 사거리를 크게 늘린 신형 방사포를 보여주려는 의도가 담겼다. 탄도 미사일로 본다면 한층 더 복잡해진다. 통상적인 비행고도와 맞지 않기 때문에 추가적인 분석이 불가피하다. 미 태평양사령부는 지난 26일 발사 직후 이를 단거리 탄도미사일이라 분석했었다.

어떤 식으로든 이번 도발은 한국을 겨냥했다는 게 대체적인 평가다. 최근까지 ICBM을 통해 사실상 미국을 겨냥한 도발을 이어왔다면, 이번 도발은 사거리 등을 감안할 때 미국을 겨냥하지 않았다는 걸 북한이 보여주려 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북한이 저강도 도발을 선택, 미국과의 관계 개선을 꾀하려 한다는 분석이 나오는 배경이다.

김상수ㆍ문재연 기자/dlc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