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서울교총, 고위험 투자로 240억원 날렸다
[헤럴드경제=이슈섹션] 서울시교원단체총연합회(서울교총)가 상조회 기금 부실 운영에 따른 막대한 투자 손실로 지급준비금이 240억 원 부족한 상황을 맞았다.

서울교총은 기금 고갈 사태가 우려되자 입·출금을 전면 중단한 데 이어 회계책임자인 사무총장과 담당국장을 직위해제하고 경찰 수사를 의뢰하기로 했다.

25일 서울교총에 따르면 지난 5월 말 기준 이 단체의 상조회 기금 잔고는 180억원으로, 납입 원금(321억원)과 회원들의 퇴직이자(102억원)를 합친 지급 예상액 423억원보다 243억원이 부족한 상황이다.

[사진=서울교총 홈페이지 캡처]

상조회원들에게 지급해야 할 금액의 44%밖에 남지 않은 것이다.

지난 5월 취임한 전병식 회장 집행부는 법무법인과 회계법인에 의뢰해 기금 운용실태를 조사한 결과, 상조회 기금을 아무런 관리·감독도 받지 않고 고위험 상품에 투자해 거액의 손실을 본 사실을 파악됐다.

상조기금은 원금 손실 위험이 큰 변액보험과 주식, 펀드 등에 주로 투자됐다.

특히 보험 비율이 전체 기금의 68%에 달했고, 안정성이 보장되는 예금은 한 푼도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기금을 정기예금 가입 등을 통해 안정적으로 운용했으면 현재 잔고는 최소한 400억∼493억 원에 이를 것으로 분석됐다.

서울교총은 2015년 6월 이후 불과 2년 동안 특정 보험사 한 곳에 242억 원 상당의 상품에 가입한 사실이 드러났다.

또 공무원연금법 개정으로 회원들의 퇴직과 탈퇴가 이어져 원리금 지금 자금이 달리자, 보험상품 중도 인출과 약관대출, 펀드 담보 대출로 손실을 더욱 키운 것으로 나타났다.

상조기금 재무제표에는 신탁 원금과 이자 등 중요한 금액이 누락되는 등 심각한 회계오류와 분식회계 사실도 발견됐으며, 일부 장부는 통째로 사라졌다
.
2012년부터는 회계책임자인 사무총장 김 모 씨가 회장 결재도 받지 않고 기금을임의로 운영했고, 기금 계좌를 모친의 전세보증금 이체에 쓰는 등 개인적으로 사용한 사실도 밝혀졌다.

회계 관련자들은 상조금 예상 지급액을 이사회와 감사 보고를 의도적으로 누락했으며, 보험상품 가입 때 사무국 직원 개인을 ‘보험수익자’로 등록하기도 했다.

이런 사실이 확인되자 신임 집행부는 긴급 대책 마련에 들어갔다.

기금 동시 유출 사태를 막기 위해 지난달 20일 입·출금 정지 조처를 한 데 이어 정지 기간을 12월 말까지로 연장했다. 사무총장 김 씨와 신 모 국장을 지난 18일직위 해제한 데 이어 조만간 업무상 배임 등 혐의로 경찰에 수사 의뢰할 계획이다.

아울러 보험사·펀드사 관계자가 부당한 금융상품을 권유한 것으로 판단되면 민사소송을 제기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손실금 보전을 위해 종로의 사무실 건물(감정평가액 120억 원) 매각과 팔당 연수원 대지 매각 대금(72억 원) 활용 방안도 논의하고 있다.

서울교총은 24일 대의원회를 열어 이런 내용을 공개하고 회원들의 협조를 당부했다.

전병식 회장은 “최근 5∼6년 동안 상조기금을 무리하고 부적절하게 투자해 막대한 손실이 발생했다”면서 “회원들이 납부한 금액을 최대한 보장하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모든 방법을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서울교총 상조회는 1993년 약 2만 명의 회원으로 출발했으며, 현재 회원은 4,824명이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