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北미사일 불안 속 서울시 “대피소에 1000만명 수용 충분”
-서울시내 민방위대피소 3257곳…확보율 299%
-종로구 687%, 성북구 518%, 성동구 487% 순
-반기별 전수조사 통해 신규 지정ㆍ해제 반복
-홈페이지ㆍ스마트폰 앱 등으로 위치 확인가능


[헤럴드경제=이원율 기자] 북한의 핵ㆍ미사일 도발 발언이 이어지면서 유사 시 대피할 수 있는 공간에 관심이 쏠린다. 특히 수도 서울에서도 언제라도 추가 도발이 일어날 수 있다는 불안감이 커지면서, 전쟁 등 비상 상황 시 시민들이 몸을 숨길 수 있는 시설인 ‘민방위 대피소’가 얼마나 있는 지 관심을 끈다.

16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내 민방위 대피소는 올해 8월 기준 모두 3257개소(2407만6774㎡)다. 인구 수와 대피소 수를 바탕으로 산출되는 확보율은 1000만명 가량 시민의 약 3배수까지 수용할 수 있는 299.7%다.

민방위 대피소 안내 표지판.

자치구별로 보면 확보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중구(749.8%), 종로구(687.8%) 성북구(518.6%), 성동구(487.3%) 등 중부 도심에 몰려 있다. 가장 적은 구는 광진구(101.1%), 은평구(160.5%), 노원구(162.0%) 등 외곽이다. 하지만 25개 자치구 모두 100%를 초과한다.

민방위 대피소는 시내 지하철역 등 공공 지하시설, 아파트 지하주차장 등 민간 지하시설 중 방송 청취에 이상 없는 면적 60㎡ 이상인 곳에 지정한다.

다만 ▷천장 높이 2.5m 이상 ▷출입구 2개소 이상 ▷24시간 상시 개방가능 등의 조건이 맞고, 시설 책임자도 동의해야 한다. 지정되면 건물 외벽에 ‘민방위 대피소’ 안내 표지판이 부착된다.

시는 반기 마다 민방위 대피소 전수조사를 벌여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곳은 솎아낸다. 이렇게 해서 시내 민방위 대피소 수는 지난 2015년 3931개소(2812만1013㎡)에서 지난해에는 3473개소(2629만3198㎡)로 줄었다.

시 관계자는 “역할을 못 해내는 대피소는 유사 시 오히려 혼란을 부를 수 있을 만큼 (지정을)해제하는 게 낫다”며 “대피소로 쓸 수 있는 신규 시설 발굴, 낡은 안내 표지판 재정비 등 작업도 병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민방위 대피소 위치는 국민재난안전포털 홈페이지(www.safekorea.go.kr) 또는 스마트폰 앱 ‘안전 디딤돌’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인근 동 주민센터를 찾아 문의해도 된다.

yul@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