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한은 “한국경제 활력저하는 혁신부족탓”
우리 경제의 경제활력 저하는 혁신부족 때문이라는 한국은행의 진단이 나왔다.

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경기변동성 축소에 대한 재평가’ 보고서에서 3%대 성장률을 기대할 정도로 경기회복이 진행됐음에도 체감이 어려운 것은 경기변동성 축소 때분이라고 분석했다. 경기가 좋아져도 상승폭이 높지 않고, 기간도 짧다 보니 경기 회복을 느끼기 어렵다는 것이다. 근본원인으로는 ‘혁신부족’을 지적했다.

보고서를 보면 경기변동성을 나타내는 GDP(국내총생산) 성장률과 GDP순환변동, 경기동행지수 등의 표준편차가 금융위기 이전인 2000년 1분기~2007년 4분기에는 각각 0.8과 0.08, 1.0을 기록했다. 하지만 위기 이후인 2010년 1분기~2017년 1분기에는 각각 0.4, 0.03, 0.5 등으로 절반 이하로 줄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GDP 변동성 평균은 0.9배인데 비해 우리는 0.48배에 그쳤다. 35개국 중에서도 슬로바키아와 이스라엘 다음으로 세번째로 변동성이 낮았다.

이처럼 경기변동성이 줄어든 데에는 민간소비와 재고투자가 가장 큰 기여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GDP 변동성 변화에 따른 지출부문별 기여도 분석결과는 재고투자 -0.3%, 민간소비 -0.25% 등 소비 및 투자의 기여도가 음(-)이었다. 고정투자도 -0.06%를 기록했다. 순수출이 0.17%로, 유일하게 GDP 변동성을 늘리는데 일조했다.

보고서는 미국도 대완화기(Great Moderation, 1980년 중반~2007년)에 지금의 한국경제처럼 GDP와 인플레이션 변동성이 줄었지만, 미시적으로는 기업 혁신과 시장경쟁 확대 등으로 생산성이 증대되면서 변동성은 오히려 커졌다고 지적했다. 신제품 개발, 제품 리뉴얼 등의 혁신이 기업 매출의 변동성을 확대시켰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 경제는 개별 기업의 창조적 파괴나 혁신 활동 등을 반영한 기업 및 업종레벨의 미시 변동성이 대체로 하락하는 모습이다.

신소연 기자/carrier@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