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탈핵’ 첫발 뗀 부산, 클린에너지 미래 밝히다
고리1호기 기점 원전해체 전망
관련 연구소 설립 타당성 커져

신재생에너지 2030년 30% 보급
부산시 에너지 자립 발빠른 행보


2017년 6월19일 0시, ‘영원히 꺼지지 않는 불’이 꺼졌다. 대한민국 최초의 상업원전인 고리원전 1호기가 수명을 다하고 영구정지 된 것이다. 이날은 역사적으로 의미가 깊은 날로, 우리가 결코 ‘한 번도 가 본 적이 없는 길’, 탈핵과 클린에너지 사회로 나아가는 첫 발걸음을 뗀 셈이다. 고리1호기 폐로 이후의 과정은 앞으로 수십 년 간 진행해야 할 원전 해체의 지난한 숙제를 던졌다. 지금이 국가와 지방정부가 함께 원전해체 산업에 대한 구체적 전략과 로드맵을 제시해야할 때다.

지난 6월19일0시를 기해 영구정지에 들어간 고리원전 1호기. 고리원전 1호기를 방문한 문재인 대통령은 원전 중심의 국가 에너지정책을 폐기하고 탈핵 로드맵을 빠른 시일 내 마련할 것을 지시했다.

지난달 19일 오전10시, 고리원전 1호기를 방문한 문재인 대통령은 원전 중심의 국가 에너지정책을 폐기하고 탈핵 로드맵을 빠른 시일 내 마련할 것을 지시했다. 아울러 공약사항인 신고리원전 5,6호기의 건설을 중단하고 국민의견을 수렴하기로 했다.

고리1호기 영구정지에 즈음해 서병수 부산시장의 발걸음도 분주하게 움직였다. 지난 6월9일 서 시장은 미국 시카고에 위치한 아르곤 국립연구소(ANL:Argonne National Laboratory)를 방문했다. 아르곤 국립연구소는 미국 최초의 국립연구소로 1946년 원자력에너지의 평화적 이용을 위해 설립되어, 현재 원자력시설 제염ㆍ해체(NDD), 미래 에너지 시스템 등 14개 분야에서 200개 이상의 연구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있는 미국 5대 연구기관 중 하나이다.


부산시는 ANL과 원전해체 및 신재생에너지분야 상호협력사업 활성화를 위한 양해각서(MOU) 체결에 공식 합의하고, 또한 오는 7월 말께 부산대에서 열리는 ANL 주관 ‘원전해체 기술교육과정’을 통해 향후 협력사업의 모델로서 상설화 전망을 가늠해 보기로 했다.

부산시는 해체대상 원전인 고리1호기가 갖는 상징성과 부산시민의 정서를 고려해 원전해체연구소가 반드시 부산지역에 설립돼야한다고 주장한다. 고리1호기의 안전한 해체를 총괄하고 해체전문기업을 육성하는 거점센터 역할을 부산에서 하는 것이 당연하고 자연스럽다는 얘기다. 또한 부산시의 철강ㆍ조선기자재 중소산업 기반은 미국 등 해체 선진국의 사례를 볼 때 원전해체기술로 가장 빨리 전환할 수 있는 업종이며, 국내최초 원자력산업단지 조성이 진행중이라는 장점을 내세웠다. 또한 해체산업의 엄밀한 시장분석과 검증된 선진기술력과의 제휴를 통해 부산을 해체산업 거점 도시로 만들어 나가겠다는 전략이다.

고리1호기를 시작으로 2023년~2025년 순차적으로 설계수명이 완료되는 2ㆍ3ㆍ4호기 등에 대비해 해체산업 기반 구축이 반드시 필요한 상황이다. 미래 클린에너지 자립도시 조성을 위한 에너지신산업 육성을 위해 현재 부산대 등 지역대학과 연구기관들이 계획중인 지역기업 연계 기술개발 및 사업화 지원, 전문인력 양성 사업 등에 아르곤연구소가 지닌 인프라와 기술력을 크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부산시는 기대하고 있다.

한편, 고리1호기 발전량은 지난해 기준 477만㎿h로 누적발전량은 1억5358만㎿h에 달했다. 이는 부산시의 연간 소비 전력량의 34배 규모다. 불꺼진 고리1호기를 대체할 에너지원을 찾아야한다. 부산시는 올해를 클린에너지 부산 원년으로 선포하고 2030년까지 에너지정책을 내놨다.

부산시는 현재 1.3% 수준에 불과한 신재생에너지 보급률을 2030년까지 30%까지 확대하고, 도시 전반의 에너지 체계를 바꾸고자 한다. 클린에너지 정책의 전문성과 총괄 컨트롤타워로서, 전국 최초로 클린에너지 정책관 직제를 지난 3월 신설해 외부 전문가를 7월1일자로 채용했다. 아울러, 민ㆍ관협의체 기구로써, ‘에너지정책위원회’를 7월 중 출범할 예정이며, 5개의 전문 분과 위원회를 구성해서 도시 전반의 에너지정책을 꼼꼼히 챙겨 나갈 계획이다.

클린에너지 도시를 향한 보다 구체적 사업으로 조력ㆍ파력 등 해양에너지 R&D 기반 및 실증 시설을 구축하고,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태양광 발전 사업을 확산해 나간다는 것이다. 에너지 보급뿐만 아니라 도시전반의 에너지 효율화를 위해서 스마트 그리드와 에너지 저장장치(ESS) 같은 필수적 기반 장치의 보급ㆍ확산에 주력하겠다는 방침이다.

또한, 영도 등 혁신도시를 중심으로 혁신도시 에너지 스마트시티를 조성하여 도심형 에너지 자립 환경을 조성해 가는 등 ‘부산형 에너지 산업 클러스터’를 구축해 나가기로 했다. 아울러, 도시재생 사업 분야에도 클린에너지 정책을 접목하여, 60만 단독주택지에 태양광발전과 LED 교체 사업 등을 추진해 나가고, 마을 공동체 단위로 ‘에너지 자립마을 조성’을 추진할 계획이다.

부산=윤정희 기자/cgnh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