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민주노총 “정부 의지 있다면 최저임금 1만원 내년부터 가능”
- 민주노총 비정규직 조합원 등 6만여명 운집
- 알바노동자 “알바에게 최저임금은 최고임금”

[헤럴드경제=원호연ㆍ박로명 기자]30일 오후 광화문 북광장은 사회적 총파업에 나선 비정규직 노조원들은 문재인 정부에 최저임금 1만원과 비정규직 철폐 등 즉각적인 노동 개혁을 주문했다.

6만여명의 비정규직 및 지지 조합원, 학생 등은 이날 광화문 북광장을 가득 메우고 각기 ’최저임금 1만원 달성‘, ’비정규직 철폐‘, ’노조할 권리‘ 등 요구사항이 담긴 피켓을 흔들며 구호를 외쳤다.

대회사에 나선 최종진 민주노총 위원장 직무대행은 “(이번 파업에 대해) 왜 사회적 총파업이냐고 묻는데 그건 바로 ’최저임금 1만원‘, ’노조할 권리‘, ’비정규직 철폐‘를 외치기 때문”이라고 단언했다. 그는 “최저임금은 전 국민 모두의 임금이고 비정규직 철폐와 최저임금 1만원은 누구에게도 양보할 수 없는 전 사회적, 시대적 요구”라며 “오늘 사회적 총파업은 국민 모두의 삶 모두를 지키는 것이며 최저임금 노동자, 비정규직 노동자가 노조 파괴와 탄압에 맞서, 무시와 차별에 주인을 선포하고 총파업에 당당하게 나섰다”고 강조했다. 


민주노총은 최근 2018년 최저임금위원회에서 경총 등 사용자위원 측이 최저임금을 2.4% 인상하겠다고 밝힌 안에 대해 비판하며 “지금 당장 1만원이 우리의 요구”라고 지적했다. 최 직무대행은 “정부가 의지가 있다면 2018년 최저임금 1만원은 지금 당장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문재인 정부의 ‘공공부문 비정규직 0 시대’ 선언에 대해서는 환영하면서도 ”무기계약직은 정규직이 아니다“고 선을 긋고 ”차별없는 정규직 전환을 위해 반드시 충분하게 협의하라“고 요구했다.

그는 “지금이야말로 다시 오지 않는 적폐청산의 타이밍. 문재인 정부가 노동친화적인 정부, 표명하고 있지만 시기를 놓친다면 자유한국당, 새누리당 같은 적폐세력의 반격이 시작될 것이 뻔하다”며 “적폐청산의 잘못된 세상을 바꾸기 위해 투쟁을 멈추지 않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오늘 총파업에는 대학생들도 참여해 노동 개혁의 목소리를 높였다. 김계호 한신대 부총학생회장은 “6470원이라는 돈으로 노력이라는 착취를 당하고 있다”며 “이제는 우리에게 강요된 희생을 거부하고 나의 권리가 보장되는 세상, 나의 노동이 존중되는 세상을 함께 만들어갈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만원행동 공동행동 집행위원장이기도 한 이가현 알바노조 위원장 “저는 사실 지금까지 최저임금 넘는 돈을 받으면서 일해본 적이 없다”며 “알바 노동자는 최저임근 6470원을 최고임금으로 받고 일을 하고 있다”고 비판 했다. 그는 최저임금은 아플 때 병원에 갈 수 있는 권리, 먹고 싶은 것을 먹을 권리, 곰팡이 피지 않는 집에서 살 권리“라고 강조했다.

장애인도 일할 권리를 위해 나섰다. 이어 단상에 오른 김민정 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 활동가는 “최저임금마저 보장받지 못하는 것이 장애인 노동의 현실“이라고비판했다.

이들은 집회 후 정부서울청사, 세종로사거리를 거쳐 종로3가에서 마무리집회를 열고 해산할 예정이다.

경찰은 병력 75개 중대 6천명을 동원했지만 진압이나 차단보다는 행진 시 교통소통 등에 중점을 둬 집회를 관리할 계획이다.

why37@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