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6ㆍ30 총파업]학교 비정규직 1만5000명 “무기계약직은 가짜 정규직…교육 공무직 전환을”
- 광화문 북광장서 총파업 대회 이어가

[헤럴드경제=원호연 박로명 기자]사회적 총파업 사전집회에 참석한 학교 비정규직 노동조합원들은 “우리 아이들이 사회에 나왔을 때 숨거나 자살하는 일 없도록 비정규직을 철폐하자”고 외쳤다.

이날 오후 1시부터 광화문 북광장에서 열린 1만5000여명(주최측 추산)의 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원들이 모여 총파업 대회를 이어갔다. 이날 집회에서 조합원들은 학교 현장에서 벌어지는 비정규직 차별 현실에 대해 성토했다. 


박금자 학교비정규직위원장은 “2007년 무기계약직이 될 때 정규직 된다고 여기저기서 한턱 쏘라고 했지만 여전히 월급은 똑같은데 정규직이라고 우길까봐 걱정된다”며 “문 대통령께서 약속한 비정규직 철폐 공약을 이행을 학교 비정규직을 공무원임금의 80%수준까지 끌어올리겠다고 직접 나오셔서 말씀해주시기를 정중히 요청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전국 17개 시도교육청 교육감에게는 “정부가 다 줄때까지 단돈 1원도 임금을 인상할 수 없다고 하는 말도 그만두라”며 “올 7월 안으로 근속수당 인상, 임금 교섭을 끝내지 않으면 2~3차 파업을 할 수 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서울의 한 학교 급식실에서 일하고 있다는 이미선 서울지부조합원은 단상에 올라 “학교에서는 이번 파업을 앞두고 아이들 밥은 어쩌려고 파업 나가냐고 뭐라고 하지만 우리가 얼마나 위험한 환경에서 일하는지 들여다보지 않으려고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그는 “우리 노동자들에게는 헌법에선 사회ㆍ경제적 방법으로 적정임금을 보장하고, 근로기준법에 따라 인간의 존엄성을 보장하도록 하지만 “매번 체결된 단체협약이 현장으로 돌아가서는 잘 지켜지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이 씨는 “이제 곧 방학인데 급여가 나오지 않는다”며 “한달 벌어서 한달 사는 노동자들에게 방학 중 급여 꼭 보장해달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공무원을 해달라는 게 아니라 학교 무기계약직들을 교육 공무직이라는 이름으로 임금체계를 바꾸고 합당한 대우를 개선해 달라는 것”이라며 “비정규직은 이제 버리자”고 제안했다.

학부모들을 대표해 지지발언에 나선 최은순 참교육학부모회 회장은 우리 부모는 우리 자식이 좋은 직장을 갖는 게 소원이지만 우리나라 비정규직은 절반을 넘어섰다”며 “이제 비정규직의 문제는 당사자의 문제가 아니라 바로 내 문제이고 내 자식의 문제”라고 성토했다.

대구에서 올라온 5학년 이연빈 양은 “엄마가 내가 3살 때부터 학교에서 급식을 하시고 있는데 작년에 다리가 부러지고 철심을 박았다”면서 “학교에서 정규직 비정규직 차별하지 말라고 가르치면서 실제는 월급이나 쉬는 날도 다르다”고 꼬집었다.

경기도 군포의 한 학교 급식소에서 일하는 김모 (55)씨는 “한명이 빠지먼 힘이 들어 연차를 쓸 수 없다”면서 “우리가 스스로 대타를 구해야 쉴 수 있다”며 근로조건의 실질적 개선을 요구했다. 


한모 (45)씨 역시 “지금 1년차나 23차나 월급 차이가 없다”면서 “노조가 생기면서 연차 수당이 생겼지만 얼마 되지 않는다”고 했다. 그러면서 “아르바이트로 오신 분들도 혀를 내두르며 나갈 정도인데 어느 정도 처우가 개선돼야 취업하지 않은 주부들이 일터로 나올 것”이라며 비정규직 대책이 일력 부족의 대안임을 강조했다.

이날 사전집회는 “새 정부가 공공부문 비정규직 70만명의 절반인 35만명이 속해있는 학교에서부터 비정규직을 철폐하고 지금 학교 비정규직의 전환을 실행하기 어렵다면 중장기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는 내용의 중앙집회위원회 결의문을 낭독하며 마무리 됐다.

why37@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