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빈곤층의 36% 소득보장제도 혜택 못받는 사각지대에 방치
[헤럴드경제=김대우 기자]우리나라 빈곤층의 36% 정도가 공적연금 등 현행 소득보장제도의 혜택을 전혀 받지 못하는 사각지대에 방치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강신욱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이 학술지인 한국사회정책 최근호에 게재한 ‘한국 소득보장제도군의 효과성 평가’ 논문에 따르면 가구 시장소득이 중위소득의 50%에 미치지 못하는 빈곤층은 전체 인구의 19.5%였으며 이들 중 공적연금 등 5개 소득보장제도 가운데 단 하나도 혜택을 받지 못하는 비율이 35.8%에 달했다. 빈곤층 3명중 1명은 소득 사회안전망 밖에 있다는 얘기다.

논문은 2015년 18세 이상의 조사 내용을 담은 10차 한국복지패널 자료를 토대로 공적연금, 기초연금,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근로장려세제, 고용보험급여(실업급여)등 5대 소득보장제도의 수혜 정도 여부를 분석했다.

일할 수 있는 나이(18∼64세)에 실직(연간 6개월 이하 취업자)한 빈곤층 가운데는 제도의 도움을 받지 못하는 이들이 57.3%에 달했다. 실직한 빈곤층의 절반 이상이 별다른 수급을 받지 못하고 있는 셈이다.

빈곤층에 3년 연속 속하는 ‘장기빈곤층’은 전체 인구 중 13%였으며 이들 중 수급을 전혀 받지 못하는 이들은 22.0%였다.

제도별 지원이 빈곤에서 벗어나는 데 어느 정도 이바지하는지를 나타내는 ‘빈곤격차 해소율’은 65세 이상 빈곤층이 공적연금을 받을 때는 120.6%였다. 공적연금을 받는 빈곤층 노인은 전체 소득이 빈곤층 이상으로 올라가 가난에서 탈피할 수 있다는 뜻이다.

공적연금 다음으로 빈곤격차 해소 기여도가 높은 제도는 기초보장급여와 기초연금 순이었다. 근로 연령대의 빈곤층에 주로 지원되는 근로장려세제(7.4%)나 실업급여(9.3%)는 빈곤격차 해소에 기여하는 정도가 10% 미만에 불과했다. 특히 이 연령대 중 실업자에 대한 기여도는 근로장려세제 6.1%, 실업급여 8.2%로 더 낮았다.

강신욱 연구위원은 논문에서 “어느 하나의 제도에 의해서도 보호받지 못하는 계층이 빈곤층 전체인구의 35% 이르렀다”며 “근로 능력이 있는 빈곤층에 대해 현재의 소득보장제도가 충분히 기능하지 못하고 있는 만큼 근로 연령층 대상 제도를 개선하거나 새로운 제도를 만들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dewkim@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