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韓美, 北대화 온도차…韓 “연내 희망”ㆍ美 “가능성 멀어져”
-대북정책 총론 접근ㆍ각론 이견
-한미정상회담 美 설득 여부 주목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한국과 미국이 대북정책을 둘러싸고 총론에선 근접했지만 각론에선 온도차를 보이는 모양새다.

특히 북한과의 대화에 있어서 문재인 대통령은 “올해안에 북한을 협상 테이블로 끌어내고 싶다(CBS방송 인터뷰)”거나 “조건이 맞다면 평양도 방문할 수 있다(WP인터뷰)”며 여전히 남북대화에 적극적인 모습니다.

반면 미국은 오토 웜비어 사망 사건으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이 만날 가능성은 더 멀어졌다’는 기류가 역력하다.

[사진=헤럴드경제DB]

문재인 대통령은 20일(현지시간) 미국 언론과의 인터뷰를 통해 대북정책 구상의 일단을 드러내면서 새 정부의 관여정책이 트럼프 대통령의 최대의 압박과 관여에서 얘기하는 관여와 매우 유사하다며 한미 간 대북정책 총론에서 큰 차이가 없음을 거듭 강조했다.

한미정상회담을 앞두고 미 일각에서 제기되는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문 대통령은 또 평양을 방문해 김정은 국무위원장과의 남북정상회담 의지까지 피력하는 등 압박과 대화를 병행하는 ‘투트랙 전략’도 분명히 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보도된 CBS방송과 워싱턴포스트(WP) 등과의 인터뷰에서 북핵문제 해법으로 동결과 완전한 폐기라는 단계적 접근방법을 제시하면서 이 같은 구상을 공개했다.

이와 관련, 문 대통령은 “우리가 대화의 필요성을 생각한다고 해서 대화에 대해 조급해 할 필요는 없다”면서도 “북한에 대해 다양하고 강도 높은 압박과 제재를 통해 북한을 협상테이블로 이끌어내는 것이 금년 중에는 이뤄졌으면 하는 희망”이라고 했다.

지난 15일 6ㆍ15 남북공동선언 17주년 기념식에서 북한이 핵과 미사일의 추가 도발을 중단한다면 조건 없이 대화에 나설 수 있다고 한 것과 같은 맥락이다.

문 대통령은 인터뷰 과정에서 자신이 직접 평양으로 가 김 위원장과 북한 비핵화나 핵동결 협상에 나서겠다는 뜻도 밝혔다.

문 대통령은 같은 날 발행된 워싱턴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도 “한국이 북핵문제 해결 과정에서 더 크고 많은 역할을 해야 한다”며 남북 간 대화를 통한 한국의 적극적인 역할을 강조했다.

반면 미국은 웜비어가 혼수상태로 송환된지 엿새만에 숨진 이후 대북기조에서 한층 강경해졌다.

미국은 웜비어 사망 이후 한때 검토했던 북미정상회담 카드도 접은 모습이다.

숀 스파이서 대변인은 20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이 김 위원장을 만날 의사가 여전히 있느냐는 질문에 “우리는 분명히 더 멀리 이동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스파이서 대변인은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적절한 조건을 전제로 했는데, 나는 우리가 조금이라도 더 가까이 가고 있다고 보지 않는다”면서 “북한의 행동과 정권을 바꾸기 위해 북한에 대한 적절한 압력을 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북한이 탄도미사일 도발을 반복하고 있는데다 웜비어가 숨진 상황에서 관여보다 압박에 초점을 맞추겠다는 의미다.

이와 함께 북한의 최근 행태를 볼 때 문 대통령이 희망한 연내 대화 성사는 쉽지 않을 것이란 관측도 제기된다.

북한은 핵문제는 자신들과 미국이 당사자라며 한국이 낄 문제가 아니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여기에 김 위원장이 최고지도자 자리에 오른 지 7년째 접어드는 동안 단 한차례도 국제무대에 등장하지 않는 등 ‘은둔의 지도자’로 알려졌던 아버지 김정일 국방위원장보다 더 폐쇄적이라는 점에서 남북정상회담 가능성도 희박한 상황이다.

외교소식통은 “문 대통령이 한미정상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을 설득해야 할텐데 트럼프 대통령 입장에서는 웜비어 사망 이후 악화된 국내여론을 신경쓰지 않을 수 없다”며 “한국이 지나치게 앞서갈 경우 한미 간 불협화음이 노정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