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은 16일 AIIB 제2차 연차총회에서 “남과 북이 철도로 연결될 때 새로운 육상ㆍ해양 실크로드의 완전한 완성이 이뤄질 것”이라고 했다. 또 “아시아대륙 극동 쪽 종착역에 한반도가 있다. 끊긴 경의선 철도가 치유되지 않은 한반도의 현실”이라고도 했다. 문 대통령은 “한반도의 평화가 아시아 안정과 통합에 기여하게 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전날 6ㆍ15 기념식에도 대북 정책에 발언 대부분을 할애했다. 문 대통령은 “북한이 핵과 미사일의 추가 도발을 중단한다면 북한과 조건 없이 대화에 나설 수 있음을 분명히 밝힌다”고 했다. 핵 포기가 아니라 도발을 중단하기로 결정한다면 조건 없는 대화가 가능하단 말이다. 기존 대북정책보다 수위가 한층 낮아졌다. 문 대통령은 “북한의 호응을 촉구한다”고 답변 요청을 공식화했다. 문 대통령은 북한이 대화에 나선다면 ▷북핵 폐기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북미관계 정상화 등을 모두 논의할 수 있다고 했다.
[사진 = 청와대 제공] |
북한에 연이어 문 대통령이 직접 메시지를 보낸 건 북한 입장 변화를 통해 외교난맥의 돌파구를 찾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외교안보 라인 인사에서부터 대북 대화 의지를 피력한 문 대통령이지만, 북한은 외려 문 대통령 출범 후 일주일 간격으로 미사일 도발을 강행하는 등 ‘어깃장’을 놓고 있다. 문재인 정부로서도 난감한 노릇이다.
한미정상회담을 앞둔 시기에 북한이 만약 유의미한 변화를 보인다면, 문 대통령은 한미정상회담에서도 대북 정책에 주도적인 입장을 내놓을 수 있다. 한반도 평화 정착과 북핵 문제 해결에 ‘키 플레이어’로 활동할 수 있다는 의미다.
관건은 북한의 태도다. 문 대통령이 연일 러브콜을 보냈음에도 불구, 별다른 입장을 표하지 않거나 미사일 도발을 이어 강행한다면 문 대통령도 내민 손이 머쓱해진다. 최근 미국 대학생 오토 웜비어(22)의 ‘혼수상태(코마) 송환’으로 미국 내 대북 감정이 악화된 시기이기에 문 대통령의 대북 메시지는 더 민감할 수 있다.
dlcw@heraldcor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