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부산지역 조선기자재 업계, 방산분야 사업다각화 모색
[헤럴드경제=윤정희(부산) 기자] 부산시가 오는 7일 오후2시 부산시청 국제회의실 12층에서 조선산업 불황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조선기자재 업체를 대상으로 ‘방산분야 사업다각화 전략 포럼’을 개최한다.

이번 포럼은 부산시와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KOMERI), 부산조선해양기자재공업협동조합, 한국조선해양IT학회 등이 협력해 이뤄지는 행사로 조선해양기자재 기업들을 방산분야로 사업 다각화를 유도하고 나아가 기업 경쟁력 제고와 조선기자재기업들의 우수한 기술력을 방산분야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표가 있다.

포럼 주제 발표는 함정 기술현황 및 발전추세(국방기술품질원 조흥기 센터장), 해군함정기자재 공급 및 수입기자재 현황(국방기술품질원 조규룡 선임), 조선해양기자재 함정 적용 사례(한진중공업 박종화 파트장)이며, 한국해양대학교 길경석 교수, 부산시 신창호 산업통상국장, 부산국방벤처센터 이성도 센터장, 한국선급 여용환 함정업무 팀장, 아이스펙 조영진 이사,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김종우 센터장의조선기자재기업의 방산분야 진출을 위한 토론 및 질의ㆍ응답 시간도 가진다.

‘방산분야’는 부산시가 그 동안 조선기자재기업의 사업다각화를 위해 발전분야, 풍력분야, 원전분야 등과 더불어 추진하는 분야이다. 이번 포럼은 방산분야 중 부산의 조선기자재기업들의 관심도가 높은 함정분야를 특화함으로써, 현재 정부가 주도하는 해경ㆍ해군 함정의 조기 발주 및 함정 수출 경쟁력 강화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해 나가려는 의지가 반영됐다.

특히, 부산에 위치한 한진중공업은 영도조선소를 군용 함정 건조에 특화해 조선경기 불황에도 불구하고 지난해에만 해군 차기 고속상륙정(LSF-II), 신형고속정(PKX-B) 등 방산 부문에서 12척의 함정을 수주하는 등 총 20척이 넘는 물량을 확보해 향후 2년치 일감을 확보해 놓은 상태이며, 정부는 2020년까지 63척 7조7000억원의 군함과 경비정 등 공공선박 조기 발주를 이어갈 예정이기 때문에 특수선 분야의 수주는 더욱 더 늘어날 전망이다.

서병수 부산시장은 “우수한 기술을 보유한 기자재 기업들에게 방산분야 참여기회를 제공함으로서 해군함정의 해외 수출 경쟁력을 확보 하고 조선기자재기업의 기술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면서 “향후 부산지역을 해군함정 기자재의 연구, 개발, 생산, 시험 인증의 거점지역으로 육성 발전할 수 있도록 부산시에서도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다”고 밝혔다.

cgnhee@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